 
[TV서울=박양지 기자] 부산과 경남 양산에 걸친 '도심 속 명산' 금정산이 24번째 국립공원이 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는 31일 제144차 회의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과 공원계획 결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내달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고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국립공원이 되는 지역은 66.859㎢로 부산 6개 자치구(78%)와 경남 양산시(22%)에 걸쳐있다. 금정산과 함께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도 포함된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지역의 20년 숙원사업이다.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달라는 목소리는 2005년께부터 나왔다.
2014년에는 10만명 서명 운동도 있었다.
이후 2017년 부산시가 부산연구원을 통해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2019년 6월 정부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하면서 논의가 본격화했다.
다만 한동안 논의에 속도가 붙지 못했는데 예정지 대부분이 사유지인 영향이 있었다.
현재도 금정산국립공원 예정지 79%가 사유지(46.51㎢·69.56%) 또는 범어사와 같은 절이 소유한 사찰지(6.363㎢·9.52%)로 국유지(7.41㎢·11.08%)와 공유지(6.576㎢·9.84%)는 21%에 그친다.
국면이 전환된 것은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가 국립공원 지정 반대 입장을 고수하다가 작년 2월 지정에 동의하기로 입장을 바꾸면서다.
이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속도가 나기 시작했다.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다.
지난 2020∼2021년 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정산에는 삵과 수달, 고리도롱뇽, 자주땅귀개 등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1천782종이 산다. 1㎢당 서식 생물종이 23종으로 국립공원이었다면 14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자연경관은 17개 산봉과 25개 기암, 13개 습지, 1개 동굴 등 71곳이 있다.
이는 국립공원 중 9번째로 많은 셈이다.
문화경관은 국보 1개를 포함해 국가 지정 문화유산 17점을 비롯해 총 127점이나 된다.
문화경관은 어떤 국립공원보다 많다.
부산연구원은 올해 4월 금정산의 자산 가치를 6조6천200억원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금정산 '보존 가치'는 연간 2천521억5천만원으로 23개 국립공원과 비교하면 19위에 그쳤지만 '이용 가치'는 연간 631억3천만원으로 3위에 해당했는데 이는 도심과 가깝다는 특징이 반영된 것이다.
지역 시민사회가 오랜 기간 국립공원 지정을 바라왔고 최근(4월) 탐방객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지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76.4%에 이르는 등 금정산국립공원에 대한 기대가 크지만, 우려되는 점이 없지는 않다.
가장 큰 난관은 사유지 매입이다.
국립공원으로서 보존·관리하려면 국·공유지 비율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이에 1천600여명으로 추산되는 금정산 토지 보유자들을 설득하는 것이 큰 과제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금정산 사유지 중 75%를 87명 정도가 소유하고 있다"면서 "사유지를 매입하는 데 2천500∼3천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며 단계적으로 매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한승 기후부 차관은 "금정산 대부분이 현재 개발제한구역으로 현재도 개발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국비 예산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사유지 비율을 낮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서 관리의 어려움도 우려된다.
도심에 있어 찾기 편한 금정산은 연간 탐방객이 국립공원 중 5위에 해당하는 312만명(2017년 추정치)에 달하며 국립공원이 되면 연간 탐방객이 4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정산은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도립공원 등 보호지역이 아닌 지역이면서 국립공원이 되는 사례다.
등산객들은 그간 자유롭게 이용해온 등산로 상당수가 국립공원이 되면 '비법정탐방로'로 묶여 이용이 금지될 것으로 우려한다.
지역 내 갈등 요인도 남아있다.
지역 일각에서는 국립공원 내 백양산도 포함된다는 점에서 명칭이 금정산국립공원이 아닌 '금정·백양산국립공원'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금한승 기후부 차관은 "주민이 금정산을 탐방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백양산을 추가하는) 명칭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