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전남서 4년만에 중단된 F1 그랑프리…인천은 성공할까

  • 등록 2024.05.12 09:27:38

 

[TV서울=곽재근 기자] 인천시가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행사로 꼽히는 F1(포뮬러원) 그랑프리 대회 유치를 추진하고 나서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달 6일 F1 그랑프리가 열린 일본 스즈카시를 방문해 F1 최고 책임자인 스테파노 도미니칼리 포뮬러원그룹 최고경영자(CEO)에게 대회 유치의향서를 전달했다.

인천시는 2026년 또는 2027년 첫 대회를 연 뒤 최소 5년 이상 매년 개최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또 전용 경기장에서 진행된 일본이나 중국 대회와 달리 모나코나 미국 라스베이거스처럼 시가지에서 펼쳐지는 도심 레이스를 구상하고 있다.

 

F1 그랑프리는 국내에서도 전남도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개최한 바 있다.

당시 전남도는 도지사가 대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영암군에 5천73억원을 들여 경주장을 비롯한 각종 기반시설을 갖추는 등 총력전을 폈다.

하지만 운영 적자가 불어나자 대회 운영사 측에 연간 300억∼400억원대에 달하는 개최권료 중 일부 인하를 요구했으나 협상이 결렬돼 애초 계획한 7년을 채우지 못하고 4년 만에 중단됐다.

 

전남 영암군에 건립된 F1 경주장

전남도는 재정 능력을 충분히 감안하지 않은 채 정부 동의도 받지 않고 대회를 열어 시작 단계부터 논란이 일었다.

적자 규모가 커지면서 국회에서도 전남도 F1 대회의 타당성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고 매년 대회 기간 교통 문제와 숙박 시설 미비에 대한 외신의 비판적 보도가 이어졌다.

 

감사원 감사 결과 전남도 F1 대회 첫해인 2010년의 경우 방문객이 계획인원(14만명)의 56.4%인 7만9천명 수준에 그쳤다.

운영수익도 70억원 흑자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69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인천시는 전남도의 시행착오를 거울로 삼아 유치 협상 단계부터 신중하게 접근해 성공적인 대회 준비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인천은 동아시아 허브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보유한 데다 12개 특급호텔과 15개 국제기구, 재외동포청 등이 있는 도시여서 F1 그랑프리의 성공적인 개최 여건을 두루 갖췄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특히 F1 그랑프리가 인천의 '글로벌 도시' 도약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F1 그랑프리 대회에는 국내외 방문객 32만명이 운집했고 해당 대회로 라스베이거스가 누린 경제적 효과는 최소 13억달러(한화 약 1조7천500억원)로 추산됐다.

 

지난해 11월 열린 F1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인천시는 최근 F1 그랑프리 유치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F1 한국 파트너 측과 대회 개최 조건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기본적인 협의가 마무리되면 올해 하반기 문화체육관광부에 국제행사 유치 의향서를 제출해 기획재정부 국제행사심의위원회 등의 행정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유치한 국제행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부가 30%의 국비를 지원한다.

송태진 F1 인천 그랑프리대회 유치단장은 12일 "이미 국내에서 F1 그랑프리를 열었던 선례가 있는 만큼 유치 조건 협상 단계부터 성공적인 대회 기반 마련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단장은 "대회 개최에 따른 직간접 파급효과와 지역·국가 인지도 향상, 관광 활성화 등을 고려하면 인천의 잠재력을 꽃피우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워런 버핏, 깜짝 은퇴 선언 "연말에 물러날 것…시장에 겁먹지 말아야"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버핏 회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밝혀 주주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2021년 에이블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회사의 비보험 사업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왔기에 그의 사후에야 에이블 부회장이 CEO를 맡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버핏 회장은 은퇴해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면서 이는 에이블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버핏 회장은 이날 열린 60번째 연례 주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버핏 회장은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우리가 손해 보는 게 아니라 우리도 그들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