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3.3℃
  • 흐림강릉 13.6℃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2.2℃
  • 맑음대구 13.8℃
  • 맑음울산 14.7℃
  • 박무광주 15.3℃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1.4℃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9.6℃
  • 맑음금산 10.0℃
  • 맑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16.0℃
기상청 제공

경제


건설사 시공능력 11년 연속 삼성물산 1위…현대·대우 2∼3위

  • 등록 2024.07.31 11:09:20

 

[TV서울=나재희 기자] 삼성물산이 건설회사 시공능력 평가에서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2·3위를 유지했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7만3천4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한 '2024년도 시공능력 평가'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시공능력 평가란 발주자가 적절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실적과 경영 상태, 기술 능력,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매년 7월 말 결과를 공시한다.

 

평가 결과는 공사 발주자가 입찰 자격을 제한하거나 시공사를 선정할 때 활용되며 신용평가와 보증심사 때도 쓰인다.

올해 1위는 시공능력 평가액 31조8천536억원을 기록한 삼성물산이다.

지난해(20조7천296억원)보다 평가액이 10조원 넘게 늘었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340억원을 올린 삼성물산은 경영 평가액이 크게 증가했고, 반도체 공장 등 해외 공사 실적 호조로 실적평가액도 늘었다.

삼성물산은 2014년부터 11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현대건설은 시공능력 평가액 17조9천436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평가액이 2조9천645억원 증가했다.

대우건설(11조7천87억원)은 평가액이 1조9천404억원 늘면서 역시 지난해에 이어 3위를 지켰다.

4위는 현대엔지니어링(9조9천809억원)으로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5위와 6위는 뒤바뀌었다.

지난해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로 인천 검단 아파트 전면 재시공을 결정한 GS건설(9조1천556억원)은 평가액이 4천345억원 줄면서 지난해 5위에서 올해 6위로 순위가 한 단계 내려갔다.

이와 동시에 DL이앤씨(9조4천921억원) 순위가 5위로 한 단계 올라가며 다시 '5대 건설사'에 입성했다.

포스코이앤씨(9조1천125억원)는 7위, 롯데건설(6조4천699억원)은 8위, SK에코플랜트(5조3천711억원)는 9위로 지난해와 순위가 같다.

HDC현대산업개발(5조1천272억원)은 평가액이 1조4천259억원 늘면서 11위에서 10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한화(4조9천673억원) 역시 평가액이 1조원 이상 늘면서 한 단계 오른 11위에 올랐다.

지난해 10위 자리에 있던 호반건설은 평가액이 3천622억원 줄어 12위가 됐다.

올해 시공능력 평가 상위 100개사 중 순위 변동이 가장 큰 곳은 38위 SK엔에코엔지니어링(1조3천249억원)으로 1년 새 123계단 뛰었다.

두산에너빌리티(3조1천224억원)는 28계단 뛴 14위를 기록했다.

반면 삼성E&A(9천870억원)은 46위로 13계단 떨어졌다.

업종별로 지난해 공사 실적을 따져보니 토목 분야는 대우건설(2조2천689억원), 삼성물산(1조5천632억원), 현대건설(1조4천612억원) 순으로 실적이 좋았다.

건축 분야는 삼성물산(12조637억원), 현대건설(9조261억원), 현대엔지니어링(7조5천18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산업·환경설비 분야는 삼성E&A(8조6천175억원), 두산에너빌리티(3조5천518억원), 현대엔지니어링(3조694억원) 순이었다.

조경 분야는 삼성물산(863억원), 제일건설(843억원), 대정골프엔지니어링(389억원)의 공사 실적이 많았다.

지하철은 GS건설(5천604억원)이 가장 많이 지었고 현대건설(4천358억원), 삼성물산(4천182억원)이 뒤를 이었다.

도로는 대우건설(6천132억원), GS건설(5천494억원), 포스코이앤씨(5천145억원)가 많이 놓았다.

지난해 아파트를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GS건설로 공사 실적이 6조4천400억원이다. 현대건설(5조9천960억원), 대우건설(5조5천197억원)이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표] 시공능력평가 상위 50대 건설사

연번 2024년
업체명 평가액 순위변동
1 삼성물산(주) 318,536 -
2 현대건설(주) 179,436 -
3 (주)대우건설 117,087 -
4 현대엔지니어링(주) 99,809 -
5 디엘이앤씨(주) 94,921 ↑1
6 지에스건설(주) 91,556 ↓1
7 (주)포스코이앤씨 91,125 -
8 롯데건설(주) 64,699 -
9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53,711 -
10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51,272 ↑1
11 (주)한화 49,673 ↑1
12 (주)호반건설 40,343 ↓2
13 디엘건설(주) 34,698 -
14 두산에너빌리티(주) 31,224 ↑28
15 제일건설(주) 28,251 ↑2
16 중흥토건(주) 27,709 ↓1
17 계룡건설산업(주) 27,120 ↑1
18 (주)서희건설 26,707 ↑2
19 코오롱글로벌(주) 23,963 -
20 금호건설(주) 22,876 ↑1
21 아이에스동서(주) 22,390 ↑2
22 동부건설(주) 21,881 -
23 대방건설(주) 21,254 ↓9
24 (주)태영건설 20,176 ↓8
25 (주)케이씨씨건설 20,063 ↓1
26 쌍용건설(주) 19,437 ↑2
27 우미건설(주) 17,542 ↓2
28 한신공영(주) 16,426 ↓1
29 (주)반도건설 16,414 ↓3
30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주) 15,693 -
31 (주)동원개발 15,383 -
32 두산건설(주) 15,150 ↑3
33 신세계건설(주) 14,904 ↓1
34 자이씨앤에이(주) 14,501 ↑21
35 (주)호반산업 13,857 ↓6
36 (주)에이치제이중공업 13,767 ↑1
37 (주)한 양 13,687 ↑1
38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주) 13,249 ↑123
39 효성중공업(주) 12,930 ↑2
40 에스지씨이앤씨(주) 12,229 ↓6
41 진흥기업(주) 11,255 ↑6
42 (주)동양건설산업 11,157 ↓6
43 (주)라인산업 11,102 ↑1
44 씨제이대한통운(주) 10,985 ↑7
45 (주)금강주택 10,300 ↓6
46 삼성이앤에이(주) 9,870 ↓13
47 에이치에스화성(주) 9,388 ↓4
48 (주)라인건설 9,337 ↓8
49 (주)대광건영 8,474 ↓4
50 양우건설(주) 7,927 ↓4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