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1 (금)

  • 맑음동두천 11.5℃
  • 맑음강릉 14.5℃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3.9℃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7.3℃
  • 맑음고창 11.2℃
  • 맑음제주 17.4℃
  • 맑음강화 12.8℃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13.2℃
  • 맑음강진군 13.5℃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밴드 사랑과 평화 "펑크는 자유…단단한 연주 합으로 마음껏 놀겠다"

  • 등록 2024.08.22 07:49:53

 

[TV서울=신민수 기자] "펑크가 뭐냐고요? 바로 가식 없이 심플하고 자연스러운 음악입니다. 무대에서 마음껏 노는 자유 그 자체죠." (이철호)

밴드 사랑과 평화에는 '장수'라는 수식어가 꼭 따라다닌다.

이들은 국내에 펑키 사운드를 도입해 큰 인기를 누린 1978년 '한동안 뜸했었지' 이래 1979년 '얘기할 수 없어요'·'장미', 1988년 '울고 싶어라', 1989년 '샴푸의 요정' 등 1970∼80년대 가요계에 굵직한 획을 그은 히트곡을 잇따라 배출했다.

2014년 9집 이후로도 지난해 MBN 밴드 경연 프로그램 '불꽃밴드'에서 최종 2위를 차지하며 여전한 관록과 열정을 자랑하고 있다.

 

오는 10월 6일 서울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단독 공연 '펑키 콘서트'(Funky Concert)를 여는 사랑과 평화 다섯 멤버를 최근 경기도 고양시의 한 음악 연습실에서 만났다.

팀의 리더(보컬·퍼커션)이자 맏형 이철호는 "1970년대 사랑과 평화는 개개인의 음악적 실력이 뛰어나 연주 실력이 좋았다고 한다면, 지금은 연주하는 '합의 맛'이 단단해졌다. 나는 지금이 더 좋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이철호는 사랑과 평화의 전신으로 미8군에서 활동한 '서울 나그네'에서부터 활동하다 1집 녹음에서는 빠졌다. 그는 1992년 5집부터 합류해 지금까지 팀의 중심을 지키고 있다. 46년 역사를 자랑하는 밴드의 시작과 현재를 모두 지켜본 셈이다.

그는 "1970년대 사랑과 평화는 너무 획기적인 부분이 많았기에 (현 멤버들이) 가려져 있는 게 많았다"며 "이제야 그걸 조금 넘어섰다"고 말하며 뿌듯해했다.

사랑과 평화, 그야말로 록 정신의 근간인 '러브 앤드 피스'(Love and Peace)를 팀 이름으로 삼은 것은 2010년 작고한 베이시스트 이남이의 아이디어였다.

 

"이남이 형님이 없었으면 사랑과 평화라는 팀이 유지가 안 됐을 겁니다. 형님이 '음악으로 사랑과 평화를 하자!'는 뜻에서 이름도 그렇게 지었어요. 이름 후보 가운데에는 '홍길동'도 있었답니다. 하하." (이철호)

이철호는 "이남이 형님은 철학적인 면도 상당히 있었다"며 "우리 음악을 하지 않고 서양 음악만 카피하면 '너희 음악 하나 없이 원숭이처럼 남의 음악만 흉내 낸다'고 질책하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1970∼80년대 활동하던 멤버들은 팀을 떠났고, 현재는 이철호를 비롯해 이권희(키보드), 이해준(기타), 박태진(베이스), 정재욱(드럼)이 현역 멤버로 활동 중이다.

지금 들어도 감각적이고 세련된 '한동안 뜸했었지'나 '장미' 같은 대표곡, 그리고 이를 탄생시킨 사랑과 평화라는 그룹명은 현 멤버들에게 만만치 않은 무게감으로 다가왔다.

이해준은 "공연할 때마다 사랑과 평화라는 이름에 먹칠을 하면 안 된다는 사명감이 있다"고 진지하게 말했다.

이권희는 "사랑과 평화 초기의 곡 구성과 연주를 보면 지금 들어도 세련됐다. 1집 음원을 들으면 시대가 지났어도 올드하지 않고 파격적"이라며 "지금 나오는 솔 펑크(Soul Funk)도 (근간은) 그때의 음악과 똑같다. 사랑과 평화의 시그니처가 바로 솔 펑크"라고 강조했다.

멤버들이 팀의 과거에만 묻히지 않고 앞으로 나가는 계기가 됐다고 입을 모은 것은 지난해 방송된 '불꽃밴드'다. 이들은 여전히 녹슬지 않고 예리한 연주 실력과 이철호의 단단한 보컬과 무대 매너로 시청자의 호평을 끌어냈다. 남녀노소 아는 이들의 히트곡은 방청객들의 흥을 더욱 돋웠다.

박태진은 "첫 녹화 현장에서 우리 팀이 소개될 때는 환호가 그리 크지 않았다. 그런데 회차가 넘어갈수록 박수와 환호 소리가 커졌다"며 "TV로 보신 분들도 우리 팀의 합이 좋다는 것을 피부로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권희도 "우리는 이번 기회에 재평가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태진은 초등학생 시절 당시 히트한 '장미'를 교실에서 따라 부르던 소년이었다. 수십 년 뒤 자신이 그 노래를 연주하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단다.

박태진은 "지금도 '장미'를 연주하면 초등학교 때 따라 부르던 장면이 떠오른다. 묘한 감정과 더불어 시간 여행을 가는 느낌이 든다"며 "내 몸은 옛날로 돌아갈 수 없어도, 느낌과 감정은 과거로 돌아갈 수 있게 해 주는 게 음악의 대단한 힘"이라고 짚었다.

공연 앞둔 사랑과 평화

사랑과 평화는 이번 단독 콘서트에서 솔과 펑키 분위기가 작렬하는 에너지 넘치는 무대를 보여주겠다는 각오다. 박태진은 "콘서트가 방송 무대보다 더욱 재미있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사랑과 평화는 팬들이 애타게 기다리는 신작도 준비 중이라고 귀띔했다. 싱글 혹은 앨범 같은 음반 형식이나 발매일은 정해두지 않았지만, 멤버들이 만든 노래를 모아 두고 고민을 거듭하는 단계라고 했다.

이철호는 "우리가 추구하는 음악은 여전히 솔 펑크이기에, 솔 펑크 신곡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중간에 멤버들이 바뀌면서 최근 히트곡 대신 옛 히트곡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상황입니다. 다음 작품이 정규 10집이 됐든 싱글이 됐든, 신곡이 사람들에게 확 각인됐으면 좋겠다는 기대가 큽니다." (정재욱)


가수 국희, 두 번째 싱글앨범 ‘마지막 인연’ 큰 인기

[TV서울=박양지 기자] ‘보라빚 청춘’을 발표하며 대중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가수 국희가 각종 음악 사이트에 공개한 두 번째 미니 앨범의 타이틀 곡 ‘마지막 인연’(국희 작사, 강혁 작곡)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국희의 ‘마지막 인연’은 인기 프로듀서 겸 작사가인 이원찬 감독의 야심작으로, 이번 미니앨범은 강혁 작곡가 등 최정상의 뮤직션들이 대거 참여해 빠른 템포와 기타선율이 돋보이는 작품들로 구성됐으며, 매력적인 음색을 지닌 국희의 목소리가 더 해저 앨범의 완성도를 더했다. 이번 앨범은 ‘막지막 인연’, ‘소유할 수 없는 사랑’ 등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총 7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원찬 감독은 “앨범 이름이자 타이틀곡인 ‘마지막 인연’은 정열적인 리듬에 강렬한 일랙기타 세션이 돋보이는 등 여러 퍼커션이 조화를 이루는 빠른 디스코 곡으로, 사랑을 재치 있게 표현한 가사와 중독성 있는 멜로디의 후렴을 통해 중장년층은 물론 젊은 세대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희는 음반 제작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그녀는 그동안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바쁜 와중에도 ‘보라빛 청춘’, ‘아부지’, ‘들꽃






정치

더보기
서영석 의원, “작년 군 내 마약 관련 징계 3년 만에 3배 증가”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기 부천시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군 내 마약사범들을 제대 후에도 관리할 수 있는 범부처간 협업을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서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마약 관련 징계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 7월까지 총 30명의 군인이 마약과 관련해 징계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군 간부들의 적발 건수가 적지 않은 가운데 강등과 감봉 처분이 각각 17%로 가장 많았고, 군기교육(13%)ㆍ휴가단축(13%), 파면(10%) 등의 순으로 많았다. 국방부는 올해부터 우리나라 육·해·공군을 통틀어 입대 후 전체 병사의 30% 이내 인원에 대해 1년에 1회 이상 마약류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입영판정 당시 마약류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병사 또는 군 간부들을 다음 마약류 검사 대상에 포함시키는 등 체계적인 마약류 검사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서 의원은 “마약은 중독성이 강하여 재범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국방부가 입영대상자 및 현역병을 대상으로 마약류 간이검사를 하여 양성판정 여부에만 치중할 뿐 재발 방지 및 예방 등 사후 관리에 대한 세부 지침이 없는 것은 문제가 있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