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명태균에 아들 채용 청탁 의혹' 경북지역 재력가 검찰 출석

  • 등록 2024.11.27 16:26:36

 

[TV서울=김기명 경남본부장]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과 미래한국연구소의 '불법 여론조사 의혹' 등 사건 핵심 인물인 명태균 씨에게 아들 채용을 청탁하며 1억원을 건넨 의혹을 받는 경북 안동지역 재력가 A씨가 27일 검찰 조사를 위해 출석했다.

이날 오후 변호인과 함께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지검에 나타난 A씨는 '명씨에게 아들 B씨 채용을 청탁했는지', '실제 1억원을 전달한 것이 맞는지' 등을 묻는 취재진 말에 아무런 대답 없이 검찰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A씨는 명씨에게 아들 B씨 채용을 청탁하고 그 대가로 1억원을 건넸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 씨는 최근 검찰 조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경북지역 사업가 C씨가 2021년 7월 미래한국연구소에 2억원을 빌려줬고, 이 중 1억원은 A씨가 B씨 청탁을 위해 C씨에게 준 돈으로 안다는 게 강씨 주장이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미래한국연구소가 C씨에게서 빌린 2억원 중 1억원을 갚지 못하자 C씨가 강씨에게 상환을 요구했고, 강씨가 이를 명씨에게 말하자 명씨가 "1억원은 B씨 채용 청탁 대가이니 안 갚아도 된다"는 취지로 말한 녹취 파일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씨 측은 명씨가 B씨 채용 경력을 쌓게 해주기 위해 자신이 실질적 운영자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에 직원으로 근무한 것처럼 허위 경력을 만들어줬다고도 주장했다.

실제로 강씨 측이 공개한 미래한국연구소 '4대 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에는 2021년 7월 B씨가 김태열 전 미래한국연구소장과 강씨와 함께 이름이 올라 있다.

강씨는 지난 25일 창원지검에 출석하며 'A씨가 명씨에게 직접 돈을 주지 않고 왜 C씨를 거쳐서 줬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 흐름까지는 정확하게 모르겠다"며 "C씨에게서 받은 돈들은 사업 경비와 여론조사 비용 등으로 쓰였다"고 말했다.

 

이어 '명씨가 B씨 채용을 위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고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일단 명씨 본인이 힘썼다라고 얘기했다"고 주장했다.

B씨는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연구위원으로 일한 뒤 윤석열 대선 캠프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실무위원을 거쳐 올해 중순부터 대통령실에서 6급 행정요원으로 근무 중이다.

검찰은 전날 B씨를 불러 조사하며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일하게 된 경위 등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C씨는 지난 23일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뒤 이 같은 의혹에 대해 "2021년 7월에 (미래한국연구소에) 돈을 빌려줬는데 그때는 윤석열 대통령이 입당도 하기 전이었다"며 "대통령 후보도 결정이 안 난 시기에 누구에게 취업 청탁을 한다는 말이냐"고 반박한 바 있다.







정치

더보기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늑장조사' 금융당국 수사할까 [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 경위도 들여다볼지 주목된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실 관계자는 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주 중 특검에 (삼부토건 관련)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대해 국회에서 나온 의혹과 자료를 취합한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조사에 신속히 나서지 않은 경위가 수사로 밝혀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대표이사 등은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운 후 보유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득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국제 포럼에서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MOU)을 맺어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된 삼부토건은 그해 5월 1천원대였던 주가가 2개월 뒤 장중 5천500원까지 급등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전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정황이 포착돼 김 여사 연루 의혹도 일었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이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