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9.2℃
  • 구름많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0.7℃
  • 구름조금부산 18.1℃
  • 구름많음고창 16.3℃
  • 맑음제주 19.2℃
  • 맑음강화 16.1℃
  • 구름많음보은 20.0℃
  • 구름많음금산 19.5℃
  • 구름많음강진군 20.9℃
  • 구름조금경주시 27.0℃
  • 구름조금거제 18.8℃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서울시, 265억 투입해 스타트업 800개 지원

  • 등록 2025.03.11 13:42:17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11일, 올해 스타트업 창업지원 허브 4곳에 265억 원을 투입해 800개 스타트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창업허브 공덕(로봇·AI), 창업허브 M+(마곡, IT·나노 등), 창업허브 성수(ESG), 창업허브 창동(뉴미디어)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외국 진출을 지원하고 스타트업과 대기업, 중견기업을 연결하는 등 성장을 돕는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통해 지난해까지 총 907개 기업이 해외 진출에 성공했고 투자유치 1천827억원, 기업매출 2,384억 원, 해외 법인설립 117개사의 성과도 냈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 스타트업 지놈 평가에서 창업하기 좋은 도시 9위에 올랐다.

 

시는 올해에도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스타트업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가속화 ▲해외 주요 국가 진출 지원을 위한 거점 및 네트워크 확대 ▲개방형 혁신 생태계 확장 ▲창업생태계 글로벌 개방성 확대 ▲AI 등 미래산업 분야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이 핵심이다.

 

 

우선, 3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미주·유럽·아시아 등 세계 전역에 350개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4개 서울창업허브에서 올해 132개 사의 입주기업을 모집하고, 허브별로 특화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창업허브 공덕에서는 130개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5월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프랑스, 인도, 스페인 등 약 13개국을 대상으로 기술 실증, 네트워킹, 투자유치, 해외법인 설립 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창업허브 M+는 업력 3년 미만 초기기업 120개 사를 집중 지원한다. 해외 진출 역량 강화, 해외투자 IR, 컨설팅, 멘토링 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마곡 산단과 시너지를 내기 위해 개방형 혁신과 연계해 입주 기업을 모집한다.

 

창업허브 창동은 글로벌 마케팅, 팝업스토어 운영 등을 통해 총 100개 사의 해외 판로 개척을 돕는다. XR 스튜디오 등 자체 뉴미디어 스튜디오를 통해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국가별 현지 인플루언서, 유력 SNS 채널을 통한 제품 홍보 등으로 시장 진입을 추진한다.

 

AI 스타트업 지원도 강화하고 모니터링과 추가 사업화 등 후속 지원도 이어간다. 스페인, 베트남, 인도, 싱가포르, 독일, 아랍에미리트에서 총 7개소로 운영하는 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 거점도 8개소 이상으로 확대한다.

 

 

일본과 태국에 거점을 구축하고 사무공간을 제공하며 컨설팅, 법인설립 컨설팅을 하는 등 현지 안착을 지원한다.

 

유럽의 혁신적인 기업과 우리 스타트업의 산업 협력도 추진한다. 창업허브 M+와 딜로이트 컨소시엄의 협업을 통해 유럽 기업과 우리 기업의 네트워킹을 지원하고 유럽에서의 기술 실증 기회도 확대한다. CES와 유럽 스타트업 축제 슬러시(SLUSH) 등 행사를 통해 투자유치와 네트워킹 기회도 만든다.

 

창업허브 4곳을 중심으로 스타트업과 대기업·중견기업을 연결하는 개방형 혁신도 추진한다. 3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100개 사 이상의 대·중견기업과 300개 이상의 스타트업 간 협력을 끌어낸다는 목표다.

 

그동안 대기업 위주였던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중견기업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기업이 개방형 혁신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민관 협의체 'S.O.A'(Seoul Open innovation Alliance)를 활성화한다.

 

시는 또 24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파트너와 네트워크 강화, 외국인 창업자 유치, 글로벌 홍보 콘텐츠 강화 사업을 진행한다.

 

서울 대표 스타트업 축제인 '트라이에브리씽'에 해외관 운영을 확대하고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국내외 스타트업 경진대회인 '서울 유니콘 챌린지'에 외국기업 참여도 늘린다.

 

해외 유망기업의 서울 창업 생태계 유입도 추진한다. 작년 태국 5개 기업에 국내 비자 제도 설명과 함께 창업 컨설팅과 MS 코리아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했고 올해는 태국, 독일 등을 중심으로 교환 프로그램을 신설해 외국 기업의 국내 유입을 추진한다.

 

서울시 온라인 창업 통합플랫폼인 '스타트업 플러스'에 영문 정보를 제공하고 해외거점 자료를 제공해 이용 편의를 높인다.

 

창업허브에서 AI, 로봇, XR 분야 스타트업 선발, 육성, 투자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컨설팅, 투자자와 비즈니스 미팅 등 단계별 로드맵을 제시하고 지원한다. 창업허브 4개소 입주나 지원 관련 정보는 스타트업 플러스 홈페이지에 있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창업허브가 단순한 공간이 아닌 성공의 시작점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역 ‘지하안전지도’ 구축 시급… 심도 깊은 탐사 병행 필요”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22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서울시 전역의 지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밀 탐사 확대와 ‘지하안전지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활용해온 GPR(지표투과레이더)은 지하 2미터 내외 탐사에 한계가 있어, 보다 깊은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저주파 탐사 병행이 필요하다”며 “저주파 탐사는 해상도는 낮지만 보다 깊은 탐사가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는 만큼, 복합탐사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비롯해, 현장 점검 결과 지하 공동과 노후 하수도 구조물 문제가 다수 확인됐다”며 “광진구 역시 지반침하 가능성이 제기된 우려 지역으로, 조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하 매설물, 공동구, 지하철 공사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하안전지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현재는 침하가 발생한 구역만을 대상으로 한 부분 보수가 이뤄지고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선제적인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된다”며 “광진구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