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


"하버드 자산이던 중국 연줄, 트럼프 시대엔 정치적 부담"

中과 오래 전부터 긴밀한 관계…캠퍼스내 中학생단체 활동 논란도
백악관 관계자 "하버드대, 중국공산당 입김 방치" 주장

  • 등록 2025.05.24 18:55:59

 

[TV서울=이현숙 기자] 하버드대가 오랫동안 자산으로 삼아 온 중국과의 긴밀한 관계가 트럼프 시대에는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친중(親中)이며 중국 공산당을 배후로 삼은 영향력 공작이 이 대학 캠퍼스에 만연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작년 기준으로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중 약 5분의 1은 중국 국적자였다.

지난 22일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를 부추기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대학의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을 전격 취소해 이 대학이 외국 유학생들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곧바로 하루 지난 23일 미 연방지방법원의 한 판사가 하버드대가 낸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이면서 이 조치의 효력은 곧바로 일시 중단됐으나, 법정 다툼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다.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SEVP 인증 취소 조치가 미국 수정헌법 제1조로 보장된 의견 표명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로이터는 예전부터 하버드대에서 중국 정부의 영향력이 크다는 우려가 공화당 중심으로 연방의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었다고 전했다.

중국이 하버드대를 조종해 미국의 첨단 기술에 접근하고 미국의 안보 법률을 우회하며 미국에서 중국에 대한 비판을 억제하고 있다는 우려다.

백악관의 한 관계자는 로이터에 "너무나 오랫동안 하버드대는 중국공산당이 하버드대를 이용하도록 내버려뒀다"며 "중국공산당의 지령으로 캠퍼스에서 자경단(自警團)이 (조직적) 괴롭힘을 벌이는데도 (하버드대는) 못 본 척했다"고 주장했다.

 

하버드대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즉각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로이터는 하버드대가 오래 전부터 중국 연구자들이나 대학들과 연구 협력 관계를 맺고 중국 관련 센터들을 설립하는 등 중국과의 인연을 이어왔으며, 이를 통해 거액의 기부금 유치, 국제관계에서의 영향력, 세계적 명성 등 유·무형의 득을 봐왔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하는 하버드대와 중국 정부 사이의 유착 사례들은 예전에 공화당이 주도하는 연방하원 중국문제 특별위원회에서 거론됐던 것들이라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예를 들어 하버드대 당국은 신장(新疆)자치구의 준군사조직인 신장생산건설병단(XPCC)이 신장 위구르인과 다른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침해 의혹으로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2020년 이후로도 이 조직 소속 인사들이 이 대학에서 공공보건 관련 연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이런 관계가 2024년까지 지속됐다고 DHS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첨단 과학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되고 있다며 중국계 스파이 조사 프로젝트인 '차이나 이니셔티브'를 시작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후인 2022년에야 공식적으로 종료됐다.

생물학과 의학에서 나노 기술을 통합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해온 찰스 리버 전 하버드대 교수는 '차이나 이니셔티브'를 계기로 수사를 받고 하버드대를 그만둔 후 중국으로 이민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해외 인재 유치 사업인 '천인계획'(千人計劃)과 관련해 허위진술을 했다는 이유로 2021년 12월 미국 연방법원 배심원단에서 유죄 평결을 받고 2023년 2월 하버드대에서 퇴임했으며, 2024년부터 중국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학생 단체들이 학내 정치활동을 감시하고 있다는 논란도 나온다.

작년 4월에는 한 학생 활동가가 주미 중국 대사의 연설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교직원이나 경비원이 아닌 한 중국 교환학생에 의해 행사장에서 완력으로 쫓겨나는 일이 있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서는 지난달 교육부가 하버드대에 외국으로부터 조달한 자금에 대한 정보공개가 부정확하고 불충분하다며 기부금 서류와 계약 문서 등 기록을 제출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하버드대는 2014년 홍콩 부동산 재벌인 항룽그룹(恒隆集團)의 로니 챈과 제럴드 챈 형제로부터 3억5천만달러를 기부받고 이 대학 보건대학원의 공식 명칭을 기부자의 아버지 이름을 딴 '하버드 T.H. 챈 보건대학원'으로 변경해준 적도 있다.

한편, 워싱턴DC 소재 주미 중국대사관은 성명서을 내고 "중국과 미국 사이의 교육 교류와 협력은 서로 유익한 일이며, 부정적인 낙인을 찍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재명, 수도권 집중공략…"제가 밉더라도 내란세력 결코 안돼"

[TV서울=이천용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대선을 열흘 앞둔 24일 경기 남부권을 방문해 '내란 심판론'을 앞세워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표심을 집중 공략했다. 이 후보는 이날 경기 부천을 시작으로 안양·시흥·안산 등을 차례로 돌며 유세했다. 이 후보는 부천·안양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해 "주인인 국민이 맡긴 총칼로 우리를 겁박하고, 영구적 군정을 통해 집권하려고 한 국민 배반·국가 반란 행위를 결코 용서해서는 안 된다"며 "그런데 희한하게 지금 길거리를 활보하며 부정선거 영화를 보고 희희낙락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자기가 이기나. 부정선거 했으면 (지난 대선에서 내가) 화끈하게 7%포인트(p)로 이기지, 왜 0.7%p로 지게 만들어서 3년간 온 국민을 고생시키는가"라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내란 수괴와 단절에 대해 끝까지 대답 안 했으니 해석은 국민 몫"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은 내란 세력의 책임을 묻고 그들의 귀환을 막을 것인지, 아니면 귀환을 허용해 영원히 후진국으로 전락할 것인지 결정되는 역사적 이벤트"라며 "누구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다음 문제다. 이 나라가 제자리를 찾






정치

더보기
이재명, 수도권 집중공략…"제가 밉더라도 내란세력 결코 안돼" [TV서울=이천용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대선을 열흘 앞둔 24일 경기 남부권을 방문해 '내란 심판론'을 앞세워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표심을 집중 공략했다. 이 후보는 이날 경기 부천을 시작으로 안양·시흥·안산 등을 차례로 돌며 유세했다. 이 후보는 부천·안양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해 "주인인 국민이 맡긴 총칼로 우리를 겁박하고, 영구적 군정을 통해 집권하려고 한 국민 배반·국가 반란 행위를 결코 용서해서는 안 된다"며 "그런데 희한하게 지금 길거리를 활보하며 부정선거 영화를 보고 희희낙락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자기가 이기나. 부정선거 했으면 (지난 대선에서 내가) 화끈하게 7%포인트(p)로 이기지, 왜 0.7%p로 지게 만들어서 3년간 온 국민을 고생시키는가"라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내란 수괴와 단절에 대해 끝까지 대답 안 했으니 해석은 국민 몫"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은 내란 세력의 책임을 묻고 그들의 귀환을 막을 것인지, 아니면 귀환을 허용해 영원히 후진국으로 전락할 것인지 결정되는 역사적 이벤트"라며 "누구를 좋아하고 싫어하고는 다음 문제다. 이 나라가 제자리를 찾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