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2022년 공법단체로 전환된 5·18 3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가 여전히 비위 의혹과 내홍, 반목에 휘말리고 있다.
내부 권력 다툼과 이권 갈등으로 인해 온갖 비위 정황이 드러나면서 "5·18단체가 민주화운동의 상징이 아니라 이익집단으로 변질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7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국가보훈부는 최근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양재혁 회장과 간부 A씨의 비위 의혹을 담은 진정서를 접수하고 감사를 진행 중이다.
진정서에는 양 회장이 보훈부에 제출한 서류를 위조했다는 의혹과 A씨가 사무국장 급여를 착복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 회장은 이러한 비위 의혹에 대해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보훈부의 감사결과가 주목된다
앞서 보훈부는 지난해 7월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를 대상으로 감사를 실시해 국가보조금 부정 사용과 수익사업 운영 과정의 위법 정황을 확인했다.
공법단체 전환 직후부터 단체 내홍도 끊이지 않고 있다.
2022년 초대 부상자회장이었던 황일봉 전 회장이 특전사와의 화해 행사를 무리하게 강행했다가 회원들로부터 반발을 사 해임 처분을 두고 소송전이 벌어졌고 지난해 새로 선출된 조규연 회장 역시 선거담합 의혹에 휩싸여 회원들이 제기한 민사소송에서 최근 당선 무효 판결을 받았다.
유족회 역시 최근 보훈부 감사 과정에서 내부 고소·고발이 잇따르고 있어 단체의 정상 운영이 사실상 마비됐다.
이러한 볼썽사나운 모습은 국가로부터 지원받는 공법단체의 특성상 이권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법단체로 승격된 이후 정부 보조금이 정례적으로 지원되고, 수익사업 운영이 가능해지면서 단체 집행부가 예산과 사업 결정권을 사실상 독점하게 됐다.
과거 회원 기부금으로 운영되던 시절과 달리 정부 지원금이 더해지면서 이익집단으로 변질됐다는 지적이다.
되풀이되는 비위와 내분으로 인해 5·18에 대한 시민들의 피로감도 커지고 있다.
광주 한 시민은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때 5·18 정신이 빛났지만 정작 단체 내부에서는 다툼이 끊이지 않아 안타깝다"며 "뉴스에서 5·18 단체 관련 잡음이 들릴 때마다 이제는 무뎌질 정도다"고 말했다.
단체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유족회 회원은 "사단법인 시절부터 문제가 있었지만 공법단체로 전환된 이후에도 단체 정관이나 내부 규정을 미흡한 점을 이용해 권력을 쥐고 휘두르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제라도 자정 노력을 통해 단체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