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 국민의 공연·영화·미술·연극·음악 등 문화예술 관람률이 처음으로 70%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실시한 2014 문화향수 실태조사 결과, 올해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71.3%로 지난 2012년 69.6% 대비 1.7%포인트 늘었다.
매 2년 주기로 실시되는 이번 문화향수 실태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만 15세 이상 성인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 1대1 방문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난 조사 대비 조사대상을 두 배로 늘려 정확도를 높였다.
읍면 지역 문화예술 관람률은 57.7%로 2012년 52.7%에 비해 5.0%포인트 증가해 지역별 구분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도시는 75.3%로 2012년 대비 2.8%포인트가 늘었고 중소도시는 73.0%로 0.9%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별로는 인천이 78.9%로 서울(77.5%)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광주가 76.1%로 뒤를 이었다. 하위 역순으로는 전남(52.2%), 전북(58.2%), 강원(58.5%) 등의 순이다.
월소득 3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공연 등 관람 할인을 해주는 문화누리 카드 이용자의 경우 2012년 62.4%에서 올해 72.6%로 관람률이 크게 늘었다.
반면 100만원 미만 계층(26.6%)과 100만~200만원 계층(43.7%)은 각각 0.3%포인트, 2.7%포인트 줄었다.
문화예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예술행사 직접 참여는 4.7%로 2012년 3.7% 대비 1.0% 증가했다. 문화자원봉사 활동 경험률(6.0%), 문화동호회 참여 경험률(4.2%)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찾아가는 문화서비스, 문화누리카드 수혜자 확대 등 지역, 소득, 연령 등 계층별 문화격차 해소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또 문화가 있는 날 확대, 생활문화센터 조성 등을 통해 일상에서 문화를 체험·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