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TV서울] 영등포구, 빨간우체통 모바일 서비스 운영

  • 등록 2019.09.10 10:03:50

 

[TV서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가 고립된 위기가구 발굴창구인 ‘빨간우체통’의 ‘모바일 서비스’를 이달 말부터 새롭게 시작한다.

 

‘빨간우체통 사업’은 기존에 설치된 우체통을 이용해 서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수취인 부담 우편제도다. 옥탑방, 고시원, 다세대 주택 등 취약가구에 안내문과 우편봉투를 비치하면, 도움이 필요한 주민이 사연을 적어 가까운 우체통에 접수하는 방식이다.

 

영등포구는 올 2월 ‘실물 빨간우체통’을 자체 제작해 동별 거점지역 34곳에 추가 설치했다. 그러나 서면 접수 방식의 기존 방법이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 이달부터 ‘모바일 빨간우체통’을 개설하고 온·오프라인으로 다각적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발굴에 나선다.

 

이는 최근 북한이탈주민 모자 사망사건 같은 안타까운 죽음과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주민 누구나 어려운 이웃을 발굴·신고할 수 있는 쉽고 간편한 신고체계를 마련해 장기간 방치돼 왔던 비수급 빈곤층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기 위함이다.

 

 

모바일 시스템은 주민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플랫폼을 활용해 구축한다. 기존에 우체통을 이용한 서면 접수가 일방 신고 방식이었다면 모바일 빨간우체통은 1:1 채팅창을 통한 쌍방향 소통 방식으로 운영한다. 영등포구는 키워드 대화를 통해 간단한 신청 방법 안내와 복지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모바일 빨간우체통’ 플러스 친구 홈 화면에 주기적으로 복지제도를 안내하고 동영상 콘텐츠, 공지사항, 이벤트 등의 정보를 담은 전체 메시지를 전송해 친구 추가한 사용자 및 사연 제보자에게 새로운 복지 소식 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자 한다.

 

빨간우체통으로 위기사항에 처해 있는 이웃을 제보하고자 하는 구민 또는 당사자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검색창에 ‘영등포구 빨간우체통’을 검색 ‘친구 추가’ 하면 된다.

 

평일 월요일부터 금요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업무시간 이후 또는 주말 접수 시 자동 안내 메시지가 발송되고 다음날 신속히 처리된다. 사연 접수 후에는 지체 없이 동주민센터로 통보해 대상자에게 빠른 상담과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영등포구는 빨간우체통을 시작한 2017부터 현재까지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161가구를 발굴했으며 220건의 공공․민간 복지서비스를 연계했다.

 

 

채현일 영등포구청장은 “어려운 이웃에게 보인 작은 관심과 노력이 한 명의 구민, 한 가족에게 다시 삶을 시작할 수 있는 희망이 될 수 있다”며 “도움이 손길이 필요한 당사자 또는 이웃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빨간우체통으로 제보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금천구의회 장규권 의원, 금빛공원 조성사업 및 대명여울빛거리 옥외영업 관리 개선 촉구

[TV서울=신민수 기자] 금천구의회 장규권 의원(국민의힘, 시흥1·4동)은 지난 1일 열린 제255회 정례회 본회의 구정질문에서 금빛공원 열린광장 조성사업의 문제점과 대명여울빛거리 시장 옥외영업 관리상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지적하고, 구청 및 관계 부서의 신속하고 세심한 개선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장 의원은 “금빛공원 재조성에 약 101억 원이 투입되었으나, 조경 부실, 배수로 미비, 시설 활용 저조, 야간 조명 부족 등 각종 문제점이 잇따라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의 큰 수목이 재이식되지 않고 작은 나무만 식재되어 그늘이 부족하고, 배수로 시설 미흡으로 우기철 강수 시 흙탕물이 지하주차장까지 유입되는 등 설계와 시공의 부실을 지적했다. 또한, 맑은누리작은도서관 등 일부 시설의 이용률 저조와 야간 조명 부족으로 인한 안전 문제도 언급했다. 장 의원은 “공원 관리와 시설 운영에 있어 부서 간 협조와 전문성 강화, 주민 의견 반영 등 내실 있는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장 의원은 대명여울빛거리 시장 내 옥외영업 단속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옥외영업장에 대해 한편으로는 시정명령을 내리면서, 또 한편으로는 동일 업소의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