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7℃
  • 구름많음강릉 18.5℃
  • 구름많음서울 20.1℃
  • 흐림대전 18.9℃
  • 흐림대구 21.4℃
  • 흐림울산 20.9℃
  • 흐림광주 21.3℃
  • 구름많음부산 23.3℃
  • 구름많음고창 17.4℃
  • 구름조금제주 22.3℃
  • 흐림강화 20.3℃
  • 흐림보은 17.6℃
  • 흐림금산 17.8℃
  • 흐림강진군 20.7℃
  • 흐림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20.7℃
기상청 제공

경제


현대차·LG엔솔, 손잡고 'K-전기차·배터리' 북미시장 공략

현대차, 2025년 전기차 60만대분 배터리 확보…美 IRA 대응
LG엔솔, 북미 생산거점 확대…투자부담 줄이며 경쟁력 강화

  • 등록 2023.05.29 09:09:03

 

[TV서울=나재희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26일 전기차 배터리셀 생산을 위한 북미 합작법인 설립을 결정하면서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K-전기차·배터리 동맹'이 공고해졌다.

현대차그룹으로서는 급증하는 북미 지역의 전기차 수요를 맞추는 동시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고,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인 공급처를 추가 확보함으로써 북미, 나아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5조7천억원을 투자해 오는 2025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브라이언 카운티에 연간 약 30만대 물량의 전기차 배터리셀 생산 공장을 짓는다.

◇ 현대차그룹, K-배터리 동맹…2030년 북미서 전기차 100만대 판매 '성큼'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셀은 현대차그룹이 건설 중인 전기차 전용 공장(HMGMA)은 물론,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으로 향한다.

연간 전기차 30만대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배터리를 미국 현지에서 조달하는 셈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SK온과도 북미 배터리셀 합작법인 설립을 발표했다. 전기차 30만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간 35GWh(기가와트시) 규모의 공장을 짓는 것으로, 역시 2025년 가동이 목표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은 2025년부터는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 60만대 분량의 배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 목표의 30%가량인 100만대를 북미 지역에서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워둔 상태다. K-배터리 업체들과의 북미 합작법인 설립은 이를 위한 교두보인 셈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전기차 판매를 옥좨왔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미국 현지에서 60만대 분량의 전기차 배터리를 확보하면서 IRA의 북미 생산·조립 기준을 무난히 충족할 수 있게 됐다. IRA는 최종적으로 북미에서 조립된 전기차에 대해서만 세액공제 형태로 최대 7천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발표된 세부 지침에서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라도 올해의 경우 ▲ 북미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을 50% 이상 사용 시 3천750달러 ▲ 미국이나 FTA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광물의 40% 이상 사용 시 3천750달러가 각각 지급되도록 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과의 합작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장착한 현대차그룹의 전기차는 전기차 세액공제 요건에 부합하는 만큼 가격 인하에 따른 판매 증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HMGMA의 완공 시기를 예정했던 2025년 상반기에서 2024년 하반기로 앞당길 계획으로 알려졌다.

 

◇ 국내 배터리업계, 북미 생산거점 확대 가속화

최근 IRA 시행과 맞물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잇따라 자동차 업체들과 합작법인 형태로 북미 생산거점 확대에 나서고 있다.

IRA의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조항에 따라 합작법인은 1KWh(킬로와트시)당 셀 기준 35달러(모듈 1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국내 배터리 1위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이번에 현대차그룹과 북미 배터리셀 합작법인을 만들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게 된 만큼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제너럴모터스(GM), 혼다와 각각 합작사를 설립해 미국에 공장을 가동 또는 건설 중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올해 1분기 영업이익에 IRA 세액공제 금액 1천3억원을 반영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현대차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핵심 전략시장인 북미 지역에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면서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수주 물량을 선점하고 공장 건설비 등을 분담하는 만큼 투자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SK온은 현대차그룹과의 합작공장에 더해 포드와 합작법인 블루오벌SK를 만들어 미국 켄터키주 2곳, 테네시주 1곳 등 배터리 생산 공장 3곳을 건설 중이다.

삼성SDI는 GM과 설립한 합작법인을 통해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지을 예정이며, 스텔란티스와도 손잡고 인디애나주에 공장을 짓고 있다.


갈가리 찢어진 김포·검단 여론...'내집 앞 지하철' 희망고문

[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구간의 노선안 마련이 지연되면서 주민들 사이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28일 인천시와 김포시에 따르면 5호선 연장구간은 서울 방화역∼인천 검단신도시∼김포 한강신도시를 연결하는 신설 노선으로 2021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됐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구체적 노선을 정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관계기관 회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인천시와 김포시가 인천 서구지역 정거장 수를 놓고 첨예한 갈등을 빚으면서 구체적인 노선안 마련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인천시는 서구에서 4개 정거장을 짓는 노선을, 김포시는 서구 2개 정거장 노선을 각각 제시했고 대광위는 지방자치단체 간 협상을 유도하고 있다. 대광위는 직권 중재를 통해 늦어도 이달 중에는 노선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노선조정위원회를 구성해 연말까지 지자체 간 협의를 거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이처럼 노선 확정 지연으로 5호선 연장선 건설공사 착공도 계속 미뤄지자 김포·검단 주민단체 10여곳은 제각각 유리한 노선을 요구하는 여론전을 펼치고 있고 이에 따른 주민 갈등도 격화하고 있다. 특히 검단지역 내부에서조차 인천시 안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