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


서울 역대 3번째로 긴 22일 연속 열대야…이번주도 더워

  • 등록 2024.08.12 08:50:48

 

[TV서울=박양지 기자] 기록적인 더위가 이번 주에도 계속된다.

11일에서 12일로 넘어가는 밤에도 서울에 열대야가 나타났다. 22일 연속 열대야다. 서울에서 1907년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118년 중 3번째로 길게 열대야가 이어졌다.

인천과 부산은 간밤까지 각각 20일째와 18일째 열대야를 겪었다.

인천은 1904년 이래 3번째, 부산은 5번째로 길게 열대야가 연속됐다.

 

12일도 대부분 지역 체감온도가 35도 안팎까지 오르는 등 무덥겠다.

오전 8시 주요 도시 기온은 서울 29.3도, 인천 29.7도, 대전 29.0도, 광주 27.5도, 대구 26.2도, 울산 26.0도, 부산 28.8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30~35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당분간 무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발표한 중기예보에서 광복절인 15일부터 22일까지 기온도 아침 23~27도, 낮 30~34도로 지금처럼 평년기온보다 다소 높겠다고 밝혔다.

 

낮에 대기 하층 공기가 달궈지며 대기가 불안정해져 곳곳에 소나기가 오겠다.

이날은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충북중·북부, 경북북동내륙·산지, 호남내륙, 제주 등에 오후에서 밤까지 중 소나기가 내릴 때가 있겠다.

소나기 양은 경기동부와 강원내륙·산지는 5~40㎜, 강원중북부내륙·산지는 5~30㎜, 나머지 지역은 5~20㎜ 정도겠다.

경기동부와 강원남부내륙·산지의 경우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시간당 20~30㎜ 안팎씩 쏟아질 수 있다.

호흡기와 피부 등을 자극할 수 있는 오존은 이날 수도권과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중서부지방 대부분과 남부지방 일부에서 '나쁨' 수준으로 짙겠다.

당분간 서해상에 해무가 끼겠다.

서해먼바다는 이날 오전까지 바람이 시속 30~45㎞(8~13㎧)로 거세게 불고 물결이 1.5~2.5m로 높게 일겠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오후 들어서는 동해먼바다와 남해동부먼바다에 이런 수준의 풍랑이 치겠다.

동해안에 오후부터 너울 때문에 백사장으로 물결이 강하게 밀려오겠다.

갯바위나 방파제를 넘을 정도의 높은 물결이 거세게 들이치기도 하겠으니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민주, 금융당국개편 토론회…발제자 "금융위 정책기능 기재부에 이관"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더불어민주당이 1일 주최한 '금융감독 체계 개혁' 토론회에서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국제기준에 따라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위에서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떼어내 국제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기재부로 이관하고, 금융위를 금융감독원과 합쳐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하자는 구상이다. 금감위는 정책 대상에 따라 금융건전성감독원과 금융시장감독원으로 나눠 건전성감독원은 금융업계 인허가를, 시장감독원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맡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고 교수는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조정하는 기구로 '금융안정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금융안정협의회는 기재부와 금융건전성감독원, 금융시장감독원, 한국은행, 예금보험공사,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회의체로 거시건전성 감독 정책 등 금융안정 업무를 담당하고 당국 간 정보교환과 관리업무도 수행한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은 금융감독체계를 소비자 중심적으로 개혁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번 토론회 성과가 차기 정부 정책에 반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