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


5년째 피해 없는 적조 대신 고수온이 여름철 양식업계 최대 재난

  • 등록 2024.09.22 09:39:39

 

[TV서울=곽재근 기자] 경남 남해안 해상가두리 양식 어민들은 지난 추석 연휴 때 고수온으로 죽어 떠오르는 물고기를 건져내야 했다.

추석 연휴와 그 이후에도 폐사가 이어지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한 올해 고수온 피해 규모는 계속 커지는 상황이다.

역대급 맹위를 떨친 늦더위 영향으로 경남 연안 바닷물 온도가 9월 중·하순에도 여전히 29도를 오르내린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바다 표층 수온이 25도에 이르면 고수온 예비특보를, 28도까지 오르면 주의보를, 28도가 넘으면 경보를 발령한다.

 

경남 남해안 전역은 지난달 16일부터 한 달 넘게 고수온 경보가 유지 중이다.

이윤수 경남어류양식협회 회장은 22일 "올여름 바닷물 온도가 물고기가 견디기 힘든 30도까지 올랐다"며 "뜨거운 목욕탕 물이나 마찬가지였다. 과거 겪어보지 못한 수준으로 바닷물이 달아올랐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통영시 산양읍 바닷가에서 참돔, 조피볼락(우럭) 등을 키운다.

그 역시 올여름 고수온으로 조피볼락 대부분을 잃었다.

해마다 여름철 큰 걱정거리였던 적조 대신, 고수온이 양식업계 최대 재난으로 부상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추석을 앞둔 지난 11일 오후 적조 위기경보 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를 '주의'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28일부터 남해안 전 해역에 적조 생물이 출현하지 않아 위기경보 단계를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낮췄다.

통상 여름에 발생하는 적조 특성상, 위기경보 단계가 이대로라면 2020년부터 5년째 경남에서 적조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적조 대신 고수온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더 큰 피해를 불러오는 상황이 됐다.

해상 가두리 양식장 면적이 가장 넓고, 양식어류 마릿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남이 고수온에 더 취약하다.

올해 경남지역 고수온 어패류 폐사 피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 19일 기준 통영시·거제시·고성군·남해군·하동군·창원시 등 경남 연안 6개 시군 양식장에서 양식어류 2천645만2천마리, 전복 9만마리, 멍게 4천777줄(멍게가 붙은 봉줄), 미더덕 316줄이 폐사해 565억3천200만원 피해가 났다.

경남도가 지난 5월 말 파악한 양식장 어류 입식량은 2억900만마리다.

경남 양식어류 13% 정도가 고수온으로 대량 폐사했다.

역대 최대 피해가 났던 지난해의 1천466만마리 폐사(207억원 피해) 규모를 훨씬 초과했다.

수산당국은 가을비치고는 매우 많은 비가 내린 20∼21일을 고비로 다음 주부터 바닷물 온도가 내려가길 기대한다.

어민들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고수온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윤수 회장은 "차광막 설치, 해수펌프 가동, 면역증강제 투여 등 갖은 방법을 다 동원했지만, 고수온 피해를 막을 수 없었다"며 "기후변화로 바다 환경에 큰 변화가 있는 걸 절감한다. 고수온에 강한 양식어종 개발, 품종개량 등 중장기적 해결책이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적조 대책 못지않게 고수온 대책을 충실히 세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송진영 경남도 수산정책과장은 "여름철 자연재해 패턴이 적조에서 고수온으로 옮겨가는 상황에 맞춰 고수온 피해를 줄이는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치

더보기
김문수 "경제 판갈이 해내겠다"…규제혁신처 신설 공약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18일 각종 규제를 상시 관리·감독하는 '규제혁신처'를 신설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경제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국민 세금을 퍼붓고 국가채무를 확 늘리는 포퓰리즘 정책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대한민국 경제 족쇄를 푸는 '경제 판갈이'를 확실하게 해내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규제혁신처를 신설해 각 부처에 산재해 있으나 충분히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규제개혁 기능과 규제 샌드박스 추진체계 등을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의 1%를 규제혁신 예산으로 반영하고, 가칭 '자유경제혁신기본법'을 제정해 다른 나라에 없는 신산업 규제가 우리나라에만 적용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일 한 만큼 보상 받는 임금체계 개편을 위해 취업규칙 변경 절차를 완화하겠다는 공약도 내놨다. 노동조합의 동의를 받아야만 취업규칙 변경이 가능한 현행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노조 의견 청취 또는 전체가 아닌 부분 대표자의 동의를 받으면 취업규칙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윤희숙 당 정책총괄본부 공약개발단장은 "고성장 시대에 만들어놓은, 누구나 조금만 회사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