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변윤수 기자]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 김현수)는 11월 20일 오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가 유족 및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실무자와 시민 등 총 150여명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과 현장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심리부검은 자살유족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고인의 사망에 영향을 끼쳤을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인의 삶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이다. 유족이 고인의 삶을 정리할 기회를 마련하면서, 자살사망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살예방정책 수립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서울형 심리부검은 서울의 특수성·시의성·실효성을 고려한 근거 기반의 자살예방정책 및 전략을 위해 2020년 서울형 심리부검을 개발하고 2개년(2021년~2022년) 96건의 심리부검 면담을 통해 서울형 자살유형 분류 및 자살위험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자살사망자 하위유형별 위기관리 개입과 서울형 자살위험 요인 조망을 통한 근거 기반 개입 전략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번 심리부검에서 서울의 자살자 하위 유형은 크게 △정신건강 및 학교 스트레스 잔존형 자살자(48%) △직장 및 경제 위기 자살자(34%) △복합형 스트레스 자살자 (18%)로 나눌 수 있었다. 각각의 유형에 대한 맞춤형 개입이 필요해 정신건강 및 학교 스트레스형 자살자에게는 학교 정신건강 교육의 중요성, 경제 위기 자살자에게는 경제적 지원의 중요성, 복합형 스트레스 자살자에게는 다양한 돌봄과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이 큰 상황임을 알려줬다.
김현수 센터장은 ‘서울형 심리부검에 따른 자살예방정책의 실천’ 주제 발표를 통해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에서 서울시민의 전반적 삶 가운데 만연하는 장기적·만성적·부정적인 스트레스, 특히 중장년 자살자들에게도 높은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부정적인 학교 경험 △높은 직장 스트레스 등의 자살 문제로 연결돼 아동기부터 스트레스 대처 교육과 개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교육 및 생애주기별 개입, 직장과 지역에서의 상담소 설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기연 시흥시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유족에 대한 통합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자살예방사업의 확대를 위해 자살예방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직장 내 자살예방 인식 고취를 위해 자살예방생명지킴이 교육을 의무화하고, 확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서종한 영남대 교수는 서울시가 심리부검 연구 프로젝트 추진을 확대하고, 서울시만의 자살 정보 예측 전산시스템을 반드시 마련해 다양한 고위험군을 선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윤미경 경기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센터장은 정신질환자 자살의 경우 정신의료기관부터 지역 사회 서비스로 유입하는 원스톱 체계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정신질환 고위험군의 표적화된 군집을 서울시 자살예방정책에 담아내기 위한 노력과 자살예방의 핵심 인력을 위한 환경 및 처우 개선도 함께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나경세 인천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서울형 심리부검을 통해 삶의 회복과 의미, 가치를 추구하는 회복탄력성과 고통감내를 추구하는 방향성을 녹여내고, 심리부검 결과에서 나타난 보호 요인과 연결해 자살예방에서 추구하는 현재의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가치가 포함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세계 자살유족의 날(International Survivors of Suicide Loss Day)을 기념하며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에 기초해 자살유족이 고인의 삶을 건강하게 애도하며, 유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자살예방 전략을 수립하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앞으로 서울형 심리부검 및 정책적 제안이 사회적으로 이뤄지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