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9 (화)

  • 구름많음동두천 12.3℃
  • 구름조금강릉 10.1℃
  • 구름많음서울 14.5℃
  • 흐림대전 13.8℃
  • 구름많음대구 12.7℃
  • 구름많음울산 14.7℃
  • 흐림광주 15.9℃
  • 구름많음부산 15.4℃
  • 흐림고창 14.4℃
  • 제주 16.4℃
  • 구름많음강화 13.9℃
  • 맑음보은 10.3℃
  • 흐림금산 14.1℃
  • 흐림강진군 15.8℃
  • 구름많음경주시 12.1℃
  • 구름많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주민 665명 충북 제천 한수면…"지도서 사라질 판"

  • 등록 2024.07.13 10:08:52

 

[TV서울=박양지 기자] 지난 11일 오전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1리. 대낮이지만 면 소재지인 이곳에서 걸어 다니는 주민을 보기 힘들었다.

낡아 보이는 한 건물에는 '매매'를 알리는 공인중개사무실의 현수막이 내걸려 있었다. 드문드문 보이는 음식점도 문이 닫혀, 실제 영업을 하는 곳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마을 중심부에 있는 3층짜리 복지관 건물도 사람이 없어 적막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인근의 슈퍼마켓 주인 A(69·여)씨는 "낮에는 돌아다니는 사람이 아예 없다고 봐도 된다"며 "50대가 여기서는 가장 젊은 사람에 속한다"고 말했다.

 

◇ 충북 면 단위 중 인구 꼴찌…주민 절반이 고령층

 

1985년 충주댐 건설로 한수면은 19개 마을 중 16곳이 수몰되는 아픔을 겪었다. 수몰 이전 4천명대였던 인구는 수몰로 너도나도 고향을 떠나면서 1986년 1천696명으로 급감했다.

이때 여러 마을에 흩어져 살았던 수몰민들이 모여 새로 만든 곳이 송계리다. 주민들은 대개 월악산을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이나 물건을 팔아 생계를 이었다.

그런데 주변이 국립공원관리지역(2012년 9월 해제)으로 묶여 개발이 제한됐고, 이 때문에 이렇다 할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으면서 관광객은 시나브로 줄었다.

해외관광 수요 증가로 국내 관광지에 대한 관심이 줄어 관광산업 자체가 쇠퇴의 길을 걷기도 했다.

A씨는 "수몰 직후 이곳에 들어와 슈퍼마켓을 했는데 그때만 해도 관광버스가 마을을 오가며 관광객들을 실어 날랐다"며 "지금은 가게를 찾는 손님이 하루에 10명도 안 된다"고 말했다.

 

관광객이 발길을 돌리자 상대적으로 젊은 주민들도 마을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한수면의 인구는 1998년 1천명 선이 무너졌고, 감소 추세가 지속하면서 지난달 655명까지 곤두박질쳤다.

한수면 전체 주민 중 절반 가까이가 65세 이상(304명)의 고령층이고, 19세 미만은 20명에 불과하다.

충북 127개 면(面) 단위 행정구역 중 주민수가 가장 적다. 인접한 청풍면(1천258명)과 비교해도 차이가 확연하다.

 

◇ 학교·마트·약국도 없다…'생활 사막화' 되기도

충북에서 한수면처럼 인구가 1천명이 안 되는 면은 보은군 회인면(714명), 영동군 용화면(943명) 밖에 없다.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한수면에서는 아기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고 있다.

태어나는 아이가 없다 보니 과거 왁자지껄했던 학교도 통폐합 대상이 되고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이미 1998년부터 통합돼 한송초중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초등생이 11명, 중학생이 6명, 유치원생이 2명에 불과한 초미니학교다. 올해 초등 신입생은 1명뿐이다.

사망이 많고, 전입보다 전출이 많은 구조이다 보니 해마다 인구가 줄어드는 악순환을 막을 도리가 없다.

이곳에 정착해 18년째 사는 50대 주민 B는 "이대로 가다가는 10년 뒤 한수면이 지도에서 사라질 수 있겠다는 걱정이 든다"고 허탈해했다.

면 소재지가 있는 송계리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송계리에서 차로 10여분 거리에 있는 상노리 주민들은 상당한 불편을 감수하고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3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이곳 반경 7km 안에는 병원이나 약국, 식당 등 생활 기반 시설이 하나도 없다.

산간 오지이다 보니 마을을 잇는 버스의 운행은 하루에 2∼3번에 불과하다.

버스가 다니지 않는 시간대에는 1시간 넘게 차를 몰고 송계리로 나가 슈퍼마켓 등에서 필요한 물건을 사와야 한다.

일부는 몸이 아플 때 이웃의 차를 얻어 타고 2시간 거리에 있는 도심지의 병원까지 나가야 한다.

상노리는 이른바 인프라 시설 이용이 취약한 '생활 사막화' 지역인 셈이다.

주민들은 정주 여건 개선을 매번 시 당국에 요구하지만, 인구가 적다 보니 정책과 예산 배정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일쑤였다.

박순태 상노리 이장은 "예전에는 전기도 들어오지 않았는데 지금은 그나마 인프라가 많이 나아진 것"이라며 "인구수가 많지 않다 보니 시가 기반 시설 개선을 위한 예산 투입에 적극적이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 전체적으로 인구가 많은 수도권에 예산이 집중적으로 지원되듯 소도시 지역에서는 도심에 예산이 많이 투입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 귀농·귀촌 인구 및 체류형 인구 유입에 사활

제천시는 2016년부터 전국 최초로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를 갖추는 등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귀농·귀촌 정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센터는 기숙사 6동과 12평 단독주택 20동, 15평 단독주택 4동 등 30가구가 생활할 수 있는 주거시설과 교육센터 1동, 비닐하우스 2동, 사과 과수원, 실습 농지 등을 갖추고 있다.

센터 입교자 중 제천에 정착한 가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1∼14가구였다가 2020년 18가구, 2021년 21가구, 2022년 18가구 등 증가 추세에 있다.

시는 농촌 폐가를 구입하거나 5년 이상 임차한 도시민들에게 최대 1천500만원의 리모델링 사업비를 지원하는 '참살이 주택지원사업'과 새로 농촌에 전입한 주민들에게 가구당 50만원을 지원하는 전입 주민 환영회 지원사업, 충북형 귀농·귀촌 보금자리 조성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귀농·귀촌 인구 유입 등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경고등이 켜진 '마을 소멸' 문제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태 조사부터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용환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고령층이 절반이 넘어가는 마을 단위를 한계마을이라고 하는 데 도내에 그런 마을들이 얼마나 되는지 실태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며 "소도시 내 마을 소멸 문제에 대한 정책을 지금부터라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