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

  • 맑음동두천 -11.2℃
  • 맑음강릉 -6.5℃
  • 맑음서울 -9.7℃
  • 대전 -6.8℃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4.9℃
  • 광주 -5.7℃
  • 맑음부산 -3.7℃
  • 흐림고창 -6.7℃
  • 제주 0.4℃
  • 맑음강화 -12.2℃
  • 흐림보은 -7.6℃
  • 맑음금산 -6.8℃
  • 구름많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종합


서산 앞바다 전복 서해호 수색 사실상 종료

  • 등록 2025.01.17 17:52:40

[TV서울=이천용 기자] 지난달 30일 저녁 충남 서산시 고파도 부근 해상에서 전복된 작업선 서해호 침몰 사고 실종자 수색이 사실상 종료됐다.

 

17일 태안해양경찰서는 전날 오후 6시를 기해 서해호 침몰사고 실종자 해상·수중 수색 작업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18일에 걸친 수색기간 함선 379척·항공기 24대·드론 201대를 동원했고, 해안가 수색에 해경·군·경찰·지자체·유관기관 등 5천362명, 수중수색에 해경·유관기관·민간 잠수사 208명을 투입했다고 태안해경은 설명했다.

 

이런 전방위적인 수색에도 서해호에 탔던 24t덤프트럭 기사 A씨(56)는 결국 찾지 못했다.

 

 

해경 관계자는 "선체 내부와 크레인·트럭 침몰 지점, 인근 양식장까지 수색 범위를 넓혔으나 A씨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외해로 빠져나갔을 것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해경은 해상·수중 수색 종료 후에도 A씨를 찾기 위한 해안가 수색은 당분간 이어갈 예정이다. 앞서 당국은 서해호에 실려있다가 바다에 빠진 11t 카고크레인과 24t 덤프트럭을 인양한 데 이어 지난 14일부터 서해호 선체 인양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 작업에 투입했던 해상크레인이 선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이마저도 중단된 상태다.

 

당국은 선주사 측과 협의해 규모가 더 큰 250t급 해상크레인을 투입해 이르면 다음 주 중 인양 작업을 재개할 방침이다.

83t급 작업선인 서해호는 지난달 30일 오후 6시 26분께 카고크레인과 덤프트럭 등 중장비를 싣고, 선장을 포함해 7명이 승선한 채 서산 우도에서 구도항으로 이동하다가 서산 고파도 부근 해상에서 전복됐다. 벌말·우도항 어촌뉴딜사업 공사를 마치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사고 직후 굴착기·카고크레인 기사 등 2명은 구조됐으며, A씨 이외에 선장 등 4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정치

더보기
박희승 의원, ‘공공산후조리원 국가 지원법’ 발의 [TV서울=나재희 기자] 박희승 국회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 더불어민주당)은 국가가 인구감소지역의 공공산후조리원을 우선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저소득 취약계층 등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공산후조리원 국가 지원법’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시·도지사 등은 관할 구역 내 산후조리원의 수요, 공급실태, 출생아 수, 출산 및 산후조리 인프라 구축 현황 등을 고려하여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운영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이어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국가의 우선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다문화가족, 희귀난치성 질환을 가진 산모, 장애인 또는 그 배우자, 한부모가족, 다태아 또는 셋째 자녀 이상을 출산한 산모 등에 대하여 우선이용 및 이용요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면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법은 산후조리원의 수요와 공급실태 등을 고려하여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지 않다. 2023년 기준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436개소(95.6%)인 반면 공공은 20개소(4.4%)에 불과하고, 특히 지방의 경우 공공은 물론 민간 산후조리원조차 없는 지역이 많아 거주 지역에 따라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