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정부가 2·4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 한달이 지났음에도, 국민 대다수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은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2명을 대상으로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4%가 '부동산 정책을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4개월 전보다 6%포인트 오른 수치로,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부정 평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응답자들은 집값 상승(40%), 효과 없음(7%), 풍선효과(6%), 서민 피해(6%) 등을 부정평가의 이유로 꼽았다.
응답자 중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4%포인트 내린 11%에 불과했다.
또, 조사 대상자 중 무주택자들에게 예상되는 내 집 마련 시기를 물은 결과, ‘10년 넘게 걸릴 것’이라는 응답이 24% 나왔고, ‘영영 어려울 것’과 ‘5∼10년이 걸릴 것’이라는 응답이 23%로 같았다.
향후 1년간 집값에 대해 전망을 묻는 짊분에는 응답자의 61%가 ‘오를 것’이라고 답했으며, ‘내릴 것’이란 응답은 13%, ‘변화 없을 것’은 17%였다.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에 대한 전망도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62%로 가장 높았고, ‘내릴 것’은 8%, ‘변화 없을 것’은 20%였다.
한편,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