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코로나19 방역 강화 시점에서 ‘인권은 후순위에 미뤄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통계청이 17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과 함께 온라인으로 공동개최한 ‘제2회 한국의 사회동향 포럼’ 주제발표에서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 1년간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응답자 62.7%가 코로나19 방역 강화 시점에서 ‘인권은 후순위에 미뤄야 한다’고 동의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장 경제 타격이 있더라고 지금은 감염 확산 저지를 강력히 해야 한다’는 응답은 66.3%인 반면, ‘경제 회복을 더 도모해야 한다’는 응답은 29.2%에 불과했다.
또, ‘방역 성과가 없다면 경제 활성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응답도 84.3%였다.
이외에도 코로나19 위기 극복 기회의 불평등 인식을 조사한 결과, ‘경제적 피해로부터 보상받을 기회’(38.6%)나 ‘감염 예방을 위한 유연근무 기회’(32.5%)에 있어서 불평등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 교수는 “국민 대다수는 경제 활성화보다 방역 성과를 우선하는 정책을 펴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코로나19 위기 극복 기회의 불평등은 일자리나 임금 등의 경제문제에서 높게 나타났다”며 관련 정책 대응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오상봉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코로나19 충격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와 영향을 분석하고, 실직 근로 계층에 과감한 지원과 관련 행정 인프라 개편 및 실업급여의 일시적 지원 연장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