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조금서울 17.2℃
  • 구름많음대전 21.1℃
  • 맑음대구 18.8℃
  • 맑음울산 17.7℃
  • 구름많음광주 20.9℃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24.5℃
  • 구름많음강화 16.6℃
  • 구름조금보은 18.7℃
  • 구름많음금산 22.6℃
  • 구름많음강진군 21.2℃
  • 맑음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8.6℃
기상청 제공

경제


삼성전자, 퀄컴과 차량용 반도체 첫 협력…LPDDR4X 공급

  • 등록 2024.08.27 08:55:42

 

[TV서울=이천용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글로벌 대형 고객사인 퀄컴과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처음 손을 잡으며 차량용 메모리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퀄컴의 프리미엄 차량용 플랫폼인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Snapdragon® Digital Chassis™) 설루션에 탑재되는 차량용 메모리 LPDDR4X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며 본격적인 제품 공급을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퀄컴과의 첫 협력으로, 향후 LPDDR4X를 글로벌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 업체 등에 장기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설루션에 최대 32GB(기가바이트) LPDDR4X를 공급, 프리미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을 지원한다.

 

삼성의 LPDDR4X는 차량용 반도체 품질 기준 'AEC-Q100'을 충족하며 영하 40도에서 영상 105도까지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삼성전자는 차량용 LPDDR4X에 이어 차세대 제품인 LPDDR5를 올해 양산 예정이다. 이는 퀄컴의 차세대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 공급된다.

그동안 복수의 고객에게 차량용 메모리를 제공해 온 삼성전자는 대형 차량용 설루션 업체인 퀄컴을 고객사 리스트에 추가하며 차량용 메모리 시장에서도 1위 기업이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차량용 메모리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작년 기준 점유율 32%로, 마이크론(44%)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오토모티브 시장을 향후 메모리 사업에서 주요 사업 분야로 판단하고 최적화된 제품 개발과 적기 공급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전 세계 차량용 D램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연평균 16%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2028년 시장 규모는 73억6천300만달러로, 2023년(34억8천700만달러) 대비 2배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 1대에 탑재되는 반도체 칩이 200∼300개라면 전기차에는 1천개, 자율주행차는 1천∼2천개 이상이 필요한 만큼 글로벌 주요 완성차업체가 본격적으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생산을 전환하는 시점이 오면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 증가세는 더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현덕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 상무는 "삼성전자는 경쟁력 있는 메모리 설계·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에 최적화된 차량용 D램 ·낸드 제품 라인업을 구축했다"며 "퀄컴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전장업체를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성장하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고동진 의원, 군사시설 무단 촬영 처벌 강화

[TV서울=나재희 기자] 고동진 국회의원(국민의힘, 서울 강남구병)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을 무단으로 촬영하는 등의 행위를 한 경우 처벌을 강화하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15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현행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에 따르면, 군사기지와 군사시설을 허가 없이 촬영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처벌 수위가 낮아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을 무단으로 촬영하는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등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처벌은 최근 수원 공군기지를 무단으로 촬영한 중국인의 가족이 공안으로 밝혀서 현행 솜방방이 처벌규정이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고동진 의원은 군사시설 무단 촬영 시 10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는 등 처벌 수위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고 의원은 “군사시설의 무단촬영은 곧 군사기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안보 사안”이라며 “군사시설 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국가 안보를 더욱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치

더보기
고동진 의원, 군사시설 무단 촬영 처벌 강화 [TV서울=나재희 기자] 고동진 국회의원(국민의힘, 서울 강남구병)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을 무단으로 촬영하는 등의 행위를 한 경우 처벌을 강화하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지난 15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현행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에 따르면, 군사기지와 군사시설을 허가 없이 촬영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처벌 수위가 낮아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을 무단으로 촬영하는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등 실효성이 낮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처벌은 최근 수원 공군기지를 무단으로 촬영한 중국인의 가족이 공안으로 밝혀서 현행 솜방방이 처벌규정이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고동진 의원은 군사시설 무단 촬영 시 10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는 등 처벌 수위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고 의원은 “군사시설의 무단촬영은 곧 군사기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안보 사안”이라며 “군사시설 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국가 안보를 더욱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