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최근의 재활용품 분리수거 대란과 관련해 서울시의회 자유한국당은 4일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이미 예견된 사태임에도 불구하고 안일한 서울시행정이 오늘의 사태를 초래'했다고 비판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서울시당 원내대표 강감창 의원(송파)은, "서울시에서는 지금까지 수거업체 전수조사도 실시하지 않아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한 2017년 7월 중국이 폐자원 수입 금지 입장을 밝힘에 따라 폐기물처리 대란이 이미 예견됐음에도 불구하고, 9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시의원들은 '서울시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황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으며, 특히 폐기물 관리와 관련해 폐기물관리법과 서울시 조례에 명시된 시장의 역할과 임무를 소홀히 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특별시폐기물관리조례 제2조(폐기물처리사업의 지원 및 조정) 1항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운영비용 및 기술지원 △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처리비용의 지원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및 공동 이용 △재난 등 긴급사태 발생시 청소인력과 시설·장비의 지원 및 동원 등을 지원한다고 돼있으나, 대부분 과거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무르며 제대로 지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동 조례 제8조(폐기물처리업자의 지도·감독)는 시장이 관계공무원으로 하여금 연 1회 이상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해 시설·장비 및 기술능력의 확보 여부,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처리의 적정 여부, 수수료 징수의 적정 여부, 그 밖에 행정지시 등의 이행 여부 등의 사항을 검사하게 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재활용선별시설과 음식폐기물처리시설 처리단가의 경우 자치구에 미루는 등 무책임한 행정처리의 문제를 지적했다.
더불어 신속히 수거업체 전수 조사를 완료하고 수거업체 협의체를 만들어 유기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배출량 추이 등 과학적인 데이터를 구축해 예측이 가능하도록 할 것, 기존 시스템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폐기물 처리시설 시스템구축에 예산을 투자하는 등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강감찬 의원은 “지금의 서울시는 미세먼지도 페트병도 책임시정이 실종돼 시민을 불안하게 한다"며 "박원순 시장은 역대 시장들이 오래전 구축해놓은 폐기물처리 시스템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머물렀을 뿐, 시스템을 개선하고 진전된 정책을 내놓는 등의 새로운 고민을 한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상묵 정책위원도 “폐기물 처리 문제가 곪아서 터질 때까지 방치한 박원순 시장은 시민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할 것이며, 조속히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