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캐나다, 과거사 책임··· 원주민들에 37조원 보상

  • 등록 2022.01.05 10:00:08

 

[TV서울=나재희 기자] 로이터 통신 등은 캐나다 정부가 4일(현지시간) 강제로 원주민 어린이를 가족과 분리해 시설로 보냈던 과거사와 관련해 37조원이 넘는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정부는 이날 원주민 어린이 보상금 등으로 모두 400억 캐나다달러(약 37조6천억원)를 지급하는 데 잠정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5년에 걸친 캐나다 정부와 원주민 단체 간 법정 다툼 끝에 나온 합의로, 수십만명에 이르는 피해 어린이 보상에 200억 캐나다달러, 차별적 보육 체계 개선에 5년에 걸쳐 200억 캐나다달러를 각각 지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991년 4월부터 30년 간 이어진 강제 수용으로 부모와 생이별해 보육 시설이나 기숙 학교에 갇혀 지내야 했던 원주민 어린이와 부모, 양육자 등이 보상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합의에 대해 선진국 정부가 원주민 공동체에 약속한 보상으로는 최대 규모 중 하나라고 했다.

 

캐나다 연방 정부는 1900년대 초반부터 후반까지 가톨릭교회 등에 원주민 어린이를 훈육하는 제도를 운용했다.

 

위탁시설의 교사들은 원주민 언어와 문화를 없애는 데 주력했는데,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신체적, 성적으로 확대당하기도 했다. 가톨릭 기숙학교에 강제 수용된 이누이트, 인디언, 메티스 등 원주민 어린이들은 15만명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캐나다 원주민 단체들은 지난 2007년 어린이 인권 침해 등을 이유로 연방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캐나다 정부는 잘못을 일부 인정하면서도 보상에는 합의하지 않아 공방은 평행선을 달렸으나, 지난해 원주민 기숙 학교 부지 등에서 총 1천구에 이르는 어린이 유해가 발견되면서 상황은 급물살을 탔다.

 

 

원주민 단체 대변인인 신디 우드하우스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면서 "원주민 어린이에게 저지른 잘못을 바로잡는 오늘을 위해 우리는 아주 열심히 노력해야 했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라메티 법무부 장관은 잠정 합의가 향후 몇 달 안에 최종 확정되면 정부가 냈던 항소를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원주민 측 변호사인 데이비스 스턴스는 기자회견에서 “이번 합의가 캐나다 집단소송 역사상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워런 버핏, 깜짝 은퇴 선언 "연말에 물러날 것…시장에 겁먹지 말아야"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버핏 회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밝혀 주주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2021년 에이블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회사의 비보험 사업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왔기에 그의 사후에야 에이블 부회장이 CEO를 맡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버핏 회장은 은퇴해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면서 이는 에이블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버핏 회장은 이날 열린 60번째 연례 주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버핏 회장은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우리가 손해 보는 게 아니라 우리도 그들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