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교육부가 지난 1년간 등교·원격 수업을 병행하며 유연하게 학사 운영을 한 경험 덕분에 올해 신학기 개학 연기는 없을 것이며, 구체적인 학사 운영 방침을 오는 28일 발표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 교육부 업무보고 브리핑을 실시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발달 단계상 대면 수업 효과가 높고 전문가 지원이 더욱 필요한 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교·학급 학생들은 우선 등교를 하도록 교육청과 긴밀히 협의하며 추진하겠다”며 모든 학생들의 전면 등교하는 시기와 관련해 지역 사회의 코로나19 위험 정도나 우리 국민의 백신 접종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학교의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시·도 교육청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면서 협의하는 중“이라며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해 신속하게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또, 학생들의 백신 접종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일정, 접종 우선순위에 대한 공식적인 결정이 나온 후에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겠다“며 ”전체적으로 지역 감염 추이를 분석하고 백신 접종의 지역별 상황, 교육 종사자 접종 우선순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계획“이라고 했다.
올해 9월 도입되는 학교 돌봄터 사업에 대해선 “기존 학교 돌봄 전체를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겠다고 한 바 없고, 돌봄 노조와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지자체 이관을 추진할 계획이 없다”며 “이번 돌봄 모델은 지역의 다양한 수요에 맞춤형 돌봄을 지원하도록 하겠다는 것으로, 전담사 처우, 고용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청, 노조 측과 지속해서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비인가 대안학교가 방역 관리에 대해선 “대안학교 등록제 관련 법이 작년에 통과돼 내년에 시행돼는데, 올해 시행령을 준비하면서 많은 학교가 등록될 것이고 현황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