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나재희 기자] 오세훈 후보는 박영선 후보의 재난위로금 지급 공약에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재난위로금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문제의식 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할 뿐이고, 부잣집과 가난한 집 아이를 나누어 생각하던 고루한 사고의 연장선입니다.
지난해 2월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재난지원금 형태의 정책을 이미 시행하거나 시행 예정에 있고, 우리 정부도 국민의 아픔을 함께하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재난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박영선 후보의 재난위로금은 코로나19로 어려워진 가계를 위로하고 소비 진작을 통해 소상공인에게 힘이 되기 위한 것입니다. 서울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씩 디지털화폐로 지급하는 재난위로금은 총 규모가 1조 원을 넘지 않습니다. 서울시 재정으로 충분히 감당 가능한 액수입니다. 동시에 미래 디지털경제수도 서울을 위한 디지털화폐 생태계도 조성될 수 있습니다.
민생과 경제를 위한 예산을 아까워하는 오 후보의 시장 재임시절을 한 번 떠올려보고자 합니다.
오 후보가 추진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사업은 약 5천억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습니다. 현재 DDP는 고질적인 적자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빛둥둥섬은 어떻습니까? 약 1,400억을 들여 건설하고 첫 행사로 모피패션쇼를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시민들의 출입을 제한하며 비판을 받았던 기억도 있습니다. 그 세빛둥둥섬은 현재 자본잠식 상태입니다.
무리하게 ‘한강르네상스’와 연계하려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끝내 무산되었습니다.
오세훈 후보, 서울시 예산을 서울시민의 가계를 돕고 소상공인을 위해 ‘재난위로금’에 사용하는 게 그렇게 아까우십니까?
유례없는 코로나 시국입니다. 10년 전 실패한 경험대로 하시다가는, 이번에는 서울시민들의 삶 자체를 부도낼 수 있음을 명심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