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남균 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인 김영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영등포갑)이 영등포구민들의 최대 숙원이라 할 수 있는 준공업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12월 18일 영등포동 소재 하이서울유스호스텔 대강당에서는 김 의원이 주최한 주민설명회가 열렸다. 설명회의 표면적 주제는 “지하철 2호선 당산역→영등포구청역 구간 소음저감 시설공사”였지만, 근본적인 주제는 준공업 지역 문제였다.
지하철 소음 피해의 직접적 당사자인 당산2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열린 설명회에는 주최자인 김 의원 외에도 최웅식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윤준용 부의장을 비롯한 다수의 영등포구의원들, 고효인 박사를 비롯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관계자들, 박철성 서울메트로 시설처 팀장 등이 참석해 현황 보고 및 주민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이런 가운데 김 의원은 “지하철 소음이 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각한데도 소음 측정 결과는 정상으로 나왔다”며 “해당 지역이 실제로는 주택가임에도 준공업지역의 소음측정 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파트 등 비산업시설이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준공업지역으로 묶여 있는” 영등포구의 비현실적인 상황을 개탄했다. 이같은 상황이 도래된 배경에 대해서는 “용도변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 허가를 내주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영등포구의 열악한 생활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준공업지역 용도 변경이 반드시 필요한 우선 과제임을 역설한 그는, 이를 위한 추진 방안 중 하나로 ‘산업기능이 전무한 주거 블록에 대해 준공업지역 용도를 해제하고, 해당 면적만큼 타 지역을 준공업지역으로 대체지정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쉽게 말해 맞바꾸는 것이다. 대체지정지로는 철도차량부지인 용산과 창동 등을 언급했다.
김 의원은 이와함께 “지금까지 서울시는 영등포 준공업지역의 역할을 산업기반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 ‘2030 서울플랜’ 수립에 따른 영등포구 도심 위상변화에 따라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도심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준공업지역 용도보다는 상업·업무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