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현대차그룹이 수소연료전지와 로보틱스 등을 통해 사람을 구하는 '레스큐' 모빌리티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달 7일 열린 '하이드로젠 웨이브' 행사와 8∼11일 열린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수소연료전지 모빌리티에 비행 드론과 소방용 방수총이 결합된 무인 모빌리티 '레스큐 드론'을 선보였다. 레스큐 드론은 비행 드론을 띄워 재난 현장을 촬영하면서 방수총을 가동해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을 구조하는 신개념 모빌리티로, 원격주행과 자율주행이 모두 가능하다. 현대차그룹은 제자리에서 돌거나 대각선으로 움직이는 '크랩 워크'도 가능하도록 구현할 예정이며 1회 충전시 주행거리는 450∼500km로 개발 중이다. 레스큐 드론과 함께 공개한 재난구호차량은 연료전지와 전기 충전기를 사륜구동이 가능한 험로 주행용 차량에 결합한 모빌리티로, 수소로 발전을 한 뒤 재난지역과 험지 등에 전력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작년 12월 세계적인 로봇 기업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구조와 구호 분야에서 로봇이 활약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당시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로봇을 구호 활동이 필요
[TV서울=이현숙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24일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을 언급하며 "단 하루 만에 확진자 수가 역대 최고치를 돌파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번 명절 대이동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내주까지의 방역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 확진자 수는 지난 17∼20일 나흘 연속 '요일 최다'를 기록하는 등 연휴 기간에도 확산세가 꺾이지 않았다. 김 총리는 "이동량이 늘면 확진자도 늘 것이라는 많은 전문가들의 예측이 있었지만, 그 확산세가 놀라우면서도 이러한 상황을 미리 막지 못해서 대단히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총리는 방역당국에 "연휴로 인해 다소 이완됐을 수 있는 방역 체계를 꼼꼼하게 점검해달라"며 "방역이 안정적으로 관리되지 못한다면 단계적 일상 회복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에는 "한층 원활해진 백신 공급 여건을 감안해 접종 간격을 단축시키는 방안을 조속히 논의해 확정해달라"며 "고령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부스터샷' 계획도 신속히 구체화해달라"고 주문했다.
[TV서울=이현숙 기자] 정부와 한국전력이 10월 1일부터 적용되는 4분기 전기요금을 전격 인상했다.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에 전기료가 인상됐다. 정부와 한전은 23일 4분기(10~12월) 최종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당 0.0원으로 책정했다고 발표했다. 3분기(-3원)보다는 3.0원 오른 것이며, 지난해와는 같은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에 따라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라면 전기료는 4분기에 매달 최대 1,050원 오르게 된다. 정부는 올해부터 전기생산에 들어가는 연료비를 전기요금에 3개월 단위로 반영하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한 뒤 1분기에 kWh당 3.0원 내렸다. 이후 2분기와 3분기에도 물가 상승과 국민 경제 등을 고려해 1분기와 같은 수준으로 요금을 동결했다. 정부가 4분기 전기요금을 전격 올린 것은 액화천연가스(LNG), 유연탄, 유류 등 전기 생산에 들어가는 연료비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연료비가 줄곧 상승세였음에도 전기료에 반영하지 않았는데, 더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전에 따르면 직전 3개월간(6~8월) 유연탄 가격은 세후 기준으로 kg당 평균 151.13원, LNG 가격은 601.54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는 23일 오전 한은 통화정책국장, 국제국장, 금융시장국장 등이 참석한 '상황점검 회의'를 주재했다. 이 부총재는 지난 22일(현지 시각) 끝난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결과에 대해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정책금리를 현 수준(0.00∼0.25%)에서 동결하고 자산매입 규모(매월 1,00억달러)를 유지하는 등 기존 완화적 정책 기조를 유지했지만, 정책결정문에서 "경제상황 진전이 예상대로 계속된다면 곧 자산매입 속도를 완화하는 것이 타당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가 이르면 다음 회의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내년 중반께 종료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총재는 중국 헝다그룹 사태와 관련해 “헝다그룹 위기가 국제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우세하다”며 “그러나 부동산 관련 부채누증 문제가 현실화한 것인 만큼 이 사태의 전개 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TV서울=이현숙 기자] 일본 땅값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짓눌려 2년째 떨어졌다. 일본 국토교통성이 21일 발표한 올 7월 1일 시점의 기준지가에 따르면 상업, 주거, 공업지 등을 합한 전체 용지의 평균 땅값이 1년 전과 비교해 0.4% 떨어졌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난해(-0.6%)보다 내림 폭이 줄긴 했지만 2년 연속으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용지별로는 코로나19 때문에 점포, 호텔 등의 영업 환경이 악화한 탓에 상업용지 내림폭이 작년에 -0.3%에서 올해는 -0.5%로 커졌다. 주거용지는 재택근무 확산과 저금리 등을 배경으로 도쿄 등 대도시권의 견조한 주택 수요에 힘입어 전체적인 하락폭이 작년의 -0.7%에서 올해는 -0.5%로 줄었다. 공업용지는 코로나19 유행 속에서 급성장하는 물류 업계의 창고 건설 붐으로 0.8% 올라 4년째 상승세를 기록했다. 수도 도쿄에선 전체 용지 평균값이 0.1% 올라 9년째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은 상업지 가격은 9년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일본에서는 2020도쿄올림픽을 앞두고 호텔 신축과 상업시설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땅값 오름세가 이어졌다. 그러나 작년 초부터 세계적으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는 가운데 22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700명대 초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천720명 늘어 누적 29만98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729명)보다 9명 줄었으나 이틀 연속 1천700명대를 기록했다. 매주 수요일을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전일 대비 400∼600명씩 급증하면서 2천명을 넘는 최근의 주간 패턴과 달리 확진자 규모는 줄었지만, 이는 추석 연휴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이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대규모 인구 이동의 여파가 본격화하는 추석 연휴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전국적 재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 지역발생 1천703명 중 수도권 1천314명 77.2%, 비수도권 389명 22.8%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은 두 달 보름 넘게 이어지며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 7월 7일(1천211명) 이후 78일 연속 네 자릿수로 집계됐다.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천942명→2천8명→2천87명
[TV서울=이현숙 기자] 상위 10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식품위생법 준수 실태를 조사한 결과, 투썸플레이스와 이디야, 빽다방 순으로 위반 사례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자료를 분석해 21일 공개한 결과를 보면 2016년부터 5년간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식품위생법 위반 건수는 총 341건이었다. 투썸플레이스가 80건으로 전체의 23.5%를 차지했고, 이디야(71건·20.8%), 빽다방(66건·19.4%) 순이었다. 스타벅스는 일곱 번째로, 총 18건(5.3%)의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 위반 사례가 제일 적은 프랜차이즈는 폴바셋으로 2건(0.6%)에 그쳤다. 제과·제빵전문점을 대상으로는 총 508건의 식품위생법 위반 사례가 적발됐다. 매장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파리바게뜨(234건, 46.1%), 뚜레쥬르(199건, 39.2%), 던킨도너츠(46건, 9.1%)가 1∼3위를 차지했다. 고 의원은 "본사 관리 체제로 운영되는 커피전문점에 대해서라도 보건당국은 각별한 위생 점검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재확산하는 가운데 추석 당일인 21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700명대 초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729명 늘어 누적 28만9천26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605명)보다 124명 늘면서 월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화요일)로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 기록을 세웠다. 종전 최다는 이달 첫 번째 주 월요일(9월 6일, 발표일 7일 0시 기준)의 1천597명으로, 이보다 132명 더 많다. 보통 주말·휴일에는 검사 건수가 줄면서 확진자도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최근 수도권에서 유행이 지속하면서 월요일 기준으로 최다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특히 지난주 금요일부터 토요일, 일요일에 이어 나흘 연속 '요일 최다' 기록을 이어가 확산세가 점점 거세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추석 연휴 대규모 인구 이동선을 따라 전국적 재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라 당국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천697명, 해외유입이 32명이다. 지난 7월 초 시작된 4차 대유행은 두 달 보름 넘게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의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 우주선을 타고 지구 궤도 비행에 나섰던 민간인 4명이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인근의 대서양 해역에서 회수된 귀환 캡슐에서 나와 포즈를 취하고 있다.
[TV서울=이현숙 기자] 한국이 독자 개발해 잠수함 발사시험에 성공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은 내년 하반기께 전력화될 전망이다. 군 당국은 지난 15일 발사에 성공한 SLBM을 내년 초까지 연구개발을 끝내고 양산 계약을 한 후 내년 하반기부터 3천t급 잠수함에 전력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복수의 정부 소식통이 20일 밝혔다. 한 소식통은 "이번에 잠수함에서 발사되어 비행시험에 성공한 SLBM은 앞으로 몇 차례 더 시험발사를 해야 한다"면서 "내년 초에 양산계약을 하면 하반기에는 잠수함에 전력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와 국방부는 지난 15일 SLBM 잠수함 발사시험 성공 사실을 알리면서 "이 SLBM은 향후 추가적인 시험평가를 거친 후 전력화 계획에 따라 군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군 당국은 해군의 첫 3천t급 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을 비롯해 추가로 건조되는 중형 잠수함 총 9척에 SLBM 78발을 장착할 계획이다. 중형 잠수함은 1차로 도산안창호함을 포함한 3천t급 3척에 이어 2차 3천600t급 3척, 3차 4천t급 이상 3척 등 9척이 건조된다. 3천t급은 6개의 수직발사관을 갖췄고, 3천600t급은 최대 10개의 발사관을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는 가운데 20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600명대 초반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605명 늘어 누적 28만7천536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910명)보다 305명 줄었으나, 일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월요일)로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 기록이다. 종전 최다는 지난달 셋째 주 일요일(8월 15일, 발표일 16일 0시 기준)의 1천554명이었다. 최근 4주간 일요일 확진자를 보면 1천485명→1천375명→1천433명→1천605명을 기록해 직전 3주간은 1천300∼1천400명대를 유지했으나 이번 주에 1천600명대로 올라섰다. 보통 주말·휴일에는 검사 건수가 줄면서 확진자 수도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수도권 중심 재확산 여파로 인해 일요일 기준으로 최다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특히 추석 연휴를 맞아 대규모 인구이동도 이어지고 있어 연휴 이후 전국적 재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TV서울=이현숙 기자] 지난 6일(현지시간) 이스라엘 교도소를 탈출했던 팔레스타인 수감자 6명이 결국 전원 체포됐다. 19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당국은 팔레스타인 탈옥수 중 그동안 체포되지 않았던 무나딜 나파얏과 이함 카맘지를 이날 오전 요르단강 서안(웨스트 뱅크)의 제닌에서 붙잡았다고 밝혔다. 제닌은 이들 탈옥수의 고향인 것으로 전해졌다. 팔레스타인 언론은 이스라엘군이 제닌에 들어갔을 때 충돌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경찰 대변인은 탈옥수 2명이 은신 중인 주택에서 저항 없이 체포됐으며, 이후 조사를 위해 옮겨졌다고 밝혔다. 이함 카맘지의 부친은 이스라엘군이 몸을 숨기고 있던 주택을 포위했을 때 아들이 전화를 걸어와 "주택 소유주를 위험에 놓이지 않기 위해" 항복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6일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호 인근 벳샨에 있는 길보아 교도소에서 팔레스타인 수감자 6명이 자취를 감춘 뒤 이스라엘 경찰이 대대적인 수색 작업을 벌여왔다. 이들은 사람 한 명이 겨우 빠져나갈 정도의 땅굴을 수개월 동안 판 뒤 교도소를 탈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감방에서는 이들이 땅굴을 파는 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녹슨 숟가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민연금이 일본 전범기업에 투자한 액수가 1조6천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이 국민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투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으로 국무총리실 지정 일본 전범기업에 투자된 액수는 1조5천700억원이다. 직접 투자가 8천800억원, 간접 투자가 6천900억원 규모다. 투자 규모가 큰 기업으로는 신에쓰화학(직접 1천629억원·간접 1천963억원), 도요타자동차(직접 2천772억원·간접 633억원), 구보타(직접 545억원·간접 622억원), 다이킨공업(직접 1천36억원·간접 65억원) 등이 있었다. 영화 '군함도'로 알려진 하시마섬 강제 노역과 연관된 미쓰비시그룹 계열사에도 총 942억원이 투자됐다. 강병원 의원은 "연금운용과 일본 경제의 특성을 감안하면 모든 전범기업 투자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지만, 간접투자도 아닌 직접투자는 국민 정서에도 맞지 않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에도 위배된다"라고 지적했다.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는 가운데 19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900명대 초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910명 늘어 누적 28만5천93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2천87명)보다 177명 줄었으나, 토요일 확진자(발표일 기준 일요일)로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 기록이다. 앞선 주말 최다는 8월 두 번째 주 토요일(발표일 8월 15일 일요일)의 1천816명이었다. 최근 6주간 주말 확진자를 보면 1천816명→1천626명→1천619명→1천490명→1천755명→1천910명으로 직전 4주간은 1천400∼1천700명대였다. 보통 주말·휴일에는 검사 건수가 줄면서 확진자 수도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면서 주말에도 평일과 비슷한 확진자가 나온 것이다. 특히 추석 연휴 대규모 인구 이동선을 따라 비수도권으로 감염 전파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 전국적 재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에서 승인된 3종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가운데 모더나 제품이 입원 예방에 가장 효능이 뛰어나다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CDC는 17일(현지시간) 펴낸 '질병 발병·사망률 주간보고서'(MMWR)에서 면역 체계에 손상이 없는 미국 성인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을 막아주는 백신의 효과는 모더나 백신이 93%, 화이자가 88%, 얀센이 7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고 CNN 방송이 보도했다. 이 조사는 CDC가 주도해 올해 3월 11일∼8월 15일 미국 18개 주(州), 21개 병원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성인 3천689명을 상대로 이뤄진 것이다. CDC는 "실제 현실세계에서 나온 이 데이터는 백신마다 보호 효과의 수준에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지만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모든 백신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을 예방하는 상당한 효과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똑같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간의 가장 큰 차이는 화이자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들에게서 약 4개월 뒤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면역 효과의 감소 때문이었다고 CDC는 지적